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득씨가 향년 101세의 나이로 1일 별세했다. 생존피해자는 이제 평균 나이 92세로 스물일곱 분이 남았다. ‘위안부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정계에서도 터져 나오고 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2일 상무위원회에서 “일본의 사죄를 받지 못한 채 돌아가신 고인께 송구스러운 마음”이라며 “시간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정부 역시 국민의 바람과 달리, 박근혜 정부 당시 이뤄진 한·일 위안부 합의를 무효화 하지 못했고 화해·치유재단 청산도 미흡한 상황”이라며 “위안부 피해자의 처지에서 사과와 배상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바른미래당 권성주 대변인 역시 “피해자들이 살아있는 증거임에도 증거가 없다고 책임을 회피하는 일본 정부의 사과를 끝내 받지 못하고 또 한 분의 희생이 조용히 사라졌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한·일 위안부 합의 재검토를 약속하고 정부 100대 국정과제 속에 위안부 피해자 기념사업을 넣었으나 북한문제와 경제 실정에 의해 뒷전으로 밀려만 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더는 미룰 수 없는 위안부 문제는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고 촉구했다.
민주평화당은 “이제는 정말로 시간이 남지 않았다”며 “일본정부는 과거사에 대한 통렬한 사죄와 보상으로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만들어 나가는데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미애 여당 대표는 “유엔인권이사회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사죄를 권고했고 유네스코는 군함도 등 강제노역 사실을 있는 그대로 알리라는 결정문을 채택했다” 며 “(일본은) 양심, 성의있는 참여로 역사와 진실 앞에 자숙해야한다”고 더했다.
위안부 문제의 해결은 여전히 더디다. 2015년 박근혜 정부가 체결한 ‘한일 위안부 합의’를 2017년 강경화 장관 직속 위안부 TF가 “(합의가) 피해자 처지에서 접근하지 않았으며 중대 흠결이 있었다”고 무력화했지만 일본 정부는 이에 반발하고 있는 상태다.
또한 정부는▲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에 위로금 형태로 출연한 기금 10억엔 반환▲화해·치유재단의 해산 등 후속 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방침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손민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