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8·25 전당대회가 두 달 앞으로 다가왔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김 장관은 지난 20대 총선에서 보수의 아성인 대구에서 민주당 간판으로 당선된 의원이다. 2020년 치러질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의 영남권 공략을 위한 최적의 인물이라는 평가와 함께 지난 1년간 일 많은 행안부 장관 직을 무리없이 수행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여론조사업체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16~17일 이틀간 전국 성인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김 장관은 차기 민주당 당대표 적합도에서 16.7%로 1위를 기록했다(표본오차 95%·신뢰수준 ±3.1%p). 박영선 의원(10.3%), 이해찬 의원(9.3%), 송영길 의원(4.0%) 순이었다.
현재 김 장관은 본인의 거취에 말을 아끼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김 징관이 임명권자인 문재인 대통령의 ‘사인’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당대표 경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장관직 사표를 제출해야 하는데, 이는 문 대통령의 인사권이 행사돼야 하고, 문 대통령의 의중이 가장 중요한 변수다. 문 대통령이 김 장관을 교체하겠다는 뜻을 보인다면, 정치적으로는 김 장관의 당대표 출마를 승낙한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김 장관 측 관계자는 29일 “행안부 장관으로서 성실히 직무에 임하고 있다. 당대표에 출마하겠다거나 출마하지 않겠다는 말을 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장관 측근들은 다만 ‘출마하지 않겠다는 말인가’라는 질문에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정치적 상황이 유동적인 만큼 단정적인 발언은 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앞서 김 장관도 지난달 26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정치권에 있으면 ‘출마합니다’라고 선언하면 되지만 내각에 있는 나를 지휘 하는 사람은 대통령과 국무총리”라며 “그분들에게서 ‘당에 돌아가라’는 메시지가 없는데 마음대로 사표를 던지겠느냐”고 확답을 하지 않았다.
당 내부에서는 김 장관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도 있다. 김 장관이 문 대통령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민주당 전당대회에 문 대통령의 영향력을 겨냥한 행위라는 것이다.
박세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