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간 강서구 생곡쓰레기매립장 내 부산시자원재활용센터 노동자들이 이번 주부터 주말근무를 거부해 재활용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부산시자원재활용센터 노조는 30일부터 주말 근무를 하지 않겠다고 29일 밝혔다.
센터에는 현재 100여명의 직원들이 일하고 있고, 이중 관리자를 제외한 75명이 기업 단일노조에 가입돼 있다.
노조에 따르면 올해 설 연휴 이후 노조원들이 평일 2시간씩 연장근무를 해온 것은 물론 토요일마다 8시간, 일요일은 격주 8시간씩 근무를 추가로 해왔다.
중국발 쓰레기 대란으로 플라스틱 재활용 물량이 많아진데다 가격 하락으로 민간업체가 처리를 포기한 물량까지 일부 처리를 도맡으면서 근로자들의 연장 근로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중국발 쓰레기 대란 등의 요인으로 처리하지 못한 재활용 쓰레기가 이미 산적한 상황에서 근로자들의 피로도마저 한계에 이르러 시스템 개선이나 인력확충을 통한 해법 모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부산 16개 구·군의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재활용 쓰레기는 민간업체가 처리하는 반면 상가와 주택 등의 쓰레기는 모두 이곳에 몰린다.
하지만 중국발 쓰레기 대란으로 규제가 심해지면서 플라스틱 가격 하락에 따라 민간업체에서 아파트 물량을 포기하는 경우가 생겨나고 이것이 시재활용센터까지 넘어오게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재활용센터 노조는 매년 재활용 처리 물량이 늘어나는 만큼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노조 측은 2015년에는 매월 평균 2000t을 처리했는데 2016년 2500여t으로 늘었고, 올해 평균 처리량은 3000t까지 예상되는 상황인데 10년 이상 노후화된 설비로 늘어나는 재활용 쓰레기를 처리하다 보니 직원들의 피로도가 누적돼 한계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또 현행법상 휴일 근무는 노사가 합의해야 하는데 노동자들은 그동안 서면 합의도 없이 계속 불합리한 근무를 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사측은 휴일 근무를 한 것은 맞지만 현행 주 62시간 근무를 어긴 적은 없고 센터의 주말가동이 중단되면 쓰레기 처리량이 줄어드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는 입장이다.
쓰레기 대란 이후 센터에는 미처리된 재활용 쓰레기 2500여t까지 쌓여있는 상황으로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개선이나 인력구조 개편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노조 측은 전문가를 통해 현재의 시스템을 점검한 뒤 설비 교체든 인력 충원이든 해결책을 논의하지 않는다면 더 큰 문제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주중 재활용센터를 찾아 문제와 원인을 살핀 뒤 인원 충원이나 시설 증설 등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시자원재활용센터 노동자들 주말근무 거부...쓰레기 대란 우려
입력 2018-06-29 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