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준 LG그룹 부회장이 29일부터 경영 일선에서 전면 물러난다. 고(故) 구본무 회장의 동생인 구 부회장이 물러나면서 구광모(40) LG 회장이 재계 4위 LG그룹을 실질적으로 이끌게 됐다. 구 부회장을 중심으로 한 계열 분리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29일 LG에 따르면 구 부회장은 이날부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고 연말 임원인사에서 퇴임한다. 구 부회장은 LG 지분 7.72%를 가진 2대 주주다. 그는 와병 중인 형을 대신해 지난해부터 그룹 전면에서 승계의 징검다리 역할을 했다. 구광모 회장 체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구 부회장은 일부 계열사 분리 등을 통해 독립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LG는 새로운 경영 체제가 확립되면 다른 오너가(家) 자손들은 계열 분리 등을 통해 독립하는 경영권 승계 수순을 밟아왔다.
구인회 창업주의 바로 아래 동생인 구철회 명예회장 자손들은 1999년 LG화재를 그룹에서 독립시키고 LIG그룹을 만들었다. 여섯 형제 중 넷째부터 막내인 구태회 구평회 구두회 형제는 2003년 계열 분리 해 LS그룹을 세웠다. 구자경 명예회장의 차남인 구본능 구본식은 희성그룹을 이끌고 있다.
한 기업 지배구조 연구원은 “LG그룹은 전통적으로 장자 승계 원칙에 따라 형제 및 형제의 자손들은 계열분리를 해왔다.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 봤다. 구 부회장이 연말 임원 인사 때 까지는 LG에서의 직책을 유지하기 때문에 계열분리 결정 등은 그 이후가 될 수도 있다.
구 부회장의 계열분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구 부회장이 LG 지분을 처분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과 주식 스와핑(교환)을 통해 최대주주로 올라설 수 있는 LG 계열사를 이끌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팽팽하다.
분리 대상은 한때 구 부회장이 몸담았던 LG디스플레이와 LG전자 전장 사업 분야인 VC사업본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여기에 LG상사와 LG이노텍 등도 분리 대상 후보로 떠올랐다. 이 회사들은 구 부회장이 보유한 ㈜LG 지분(7.72%)으로 주식 교환을 할 경우, 구 부회장이 최대주주로 올라설 수 있는 계열사다.
하지만 LG이노텍 등을 계열 분리하면 LG그룹이 자본 규모 등에서 롯데그룹에 밀려 4대 그룹 지위를 상실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온갖 분석이 난무하고 있으나 LG 관계자는 “계열 분리 등에 대해선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