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시작되면 근심이 깊어지는 사람들이 있다. 먹구름이 몰려오기 전부터 강우를 예감하는 이들, 비만 오면 뼈마디가 쑤시고 아픈 사람들이다. 맑은 날보다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 따뜻한 날보다 추운 날 왜 더 쑤시고 아플까.
안타깝게도 ‘현상’은 있지만 ‘근거’는 없다. 관절염 환자와 근육통 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비와 통증의 상관관계’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아직 찾지 못 했다. 각종 연구 결과 외부 온도가 떨어지거나 습도가 높아질 때 환자들이 관절의 통증을 느끼며 관절의 경직이 증가한다는 정도만 확인됐다.
의학계의 해석은 이렇다. 저기압, 고습, 저온이 관절염의 통증을 악화시킨다는 것. 고온다습한 날씨에 에어컨을 온종일 틀고 지내는 현대인의 생활 환경이 관절염을 악화시킨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관절염이 있다면 실내 온도를 너무 낮추지 않는 게 좋다고 조언한다.
전문가들은 장마철 뼈마디 통증이 심해졌을 때 운동을 너무 많이 하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운동 전후에 스트레칭을 더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장마철에도 관절염 환자들이 하기 좋은 운동은 수영, 스트레칭, 저속으로 자전거 타기, 요가 등이다. 무엇보다 자신에게 맞는 운동의 종류와 지속 시간을 관절염 주치의에게 처방받는 게 중요하다. 잘못된 방법으로 운동을 하게 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운동을 하던 중 통증을 느낀다면 무리해서 진행하지 않고 관절은 쉬게 해주는 게 좋다. 아픈 걸 참아가며 무리하게 운동하는 게 오히려 관절염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조금씩이라도 매일 규칙적으로 꾸준히 하는 게 도움이 된다.
관절의 통증은 적절한 찜질로 완화시킬 수 있다. 붓지 않고 열도 나지 않는 통증이라면 뜨거운 물주머니 찜질이 도움이 된다. 찜질은 피부보다 더 깊은 조직의 온도를 변화시켜서 관절의 뻣뻣한 증상을 완화시키고 기능을 향상시킨다. 그렇다고 고온 찜지을 자주 반복하는 것도 주의해야 한다. 관저 연골과 조직에 함유돼 있는 콜라겐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관저 염증이 심해 열감이 있는 경우엔 냉찜질이 효과적이다.
을지대 을지병원 류마티스내과 허진욱 교수는 “뼈마디가 쑤시고 아프다고 호소하는 관절통의 경우 대부분 관절주위의 통증이거나 근육통으로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실제로 관절이 붓거나 열감이 동반되고, 눌러서 아프거나, 관절의 운동이 제한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관절염으로 봐야 한다. 허 교수는 “이런 증상이 생기면 반드시 류마티스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