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준비생 B씨(27세, 여)는 평소 날카롭게 찢어진 듯한 눈꼬리가 콤플렉스이다. 가늘고 뾰족한 느낌의 눈꼬리가 이마 쪽으로 치켜 올라가기까지 해 인상이 사나워 보인다는 평가를 자주 듣기 때문이다. 눈 성형을 시도하고자 병원을 찾은 적도 있지만 흉터가 남거나 부자연스러운 모양이 되는 경우가 있다는 주변의 의견에 결정을 망설이고 있다.
뒤트임 수술은 눈의 가로폭을 길게 해줌으로써 눈의 크기가 본래보다 더 크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수술의 과정을 보면 눈꼬리 인대를 부분적으로 분리해 눈의 가로폭이 길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눈꼬리를 어떻게 절개하는가에 따라 수술 후 터낸 부분이 원래대로 돌아오거나, 가로폭이 길어진 효과가 느껴지지 않는 경우 등이 있다. 때문에 눈꼬리를 터낼 때는 단순히 눈꼬리를 잡아당기는 것이 아니라 눈꼬리를 절개한 후 눈꼬리인대를 분리해 이동하는 것이 좋다.
이동시킨 눈꼬리는 인대와 골막 사이에 고정시킨다. 이때 전략 없이 눈꼬리를 고정하게 되면 앞서 눈꼬리 절개의 과정과 같이 눈꼬리를 터낸 부위가 원래대로 돌아오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절개된 부위나 눈꼬리 인대의 이동이 미미하면 이때는 개선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같은 결과를 예방하려면 이동시킨 눈꼬리 인대를 정확히 예측된 골막 위치에 단단히 고정하고 속눈썹의 끊김 없이 자연스러운 뒤트임을 완성해야 한다.
눈꼬리 인대는 눈뼈까지 최대한 이동시켜야 뒤트임 효과가 극대화 된다. 이때 이동의 방향을 단순히 평면적인 가로 방향이 아니라 골막을 따라 얼굴의 측면으로까지 이동하면 뒤트임의 효과가 입체적으로 깊이 있게 나타나 얼굴 전체에 3차원적인 깊이감과 입체감을 기대할 수도 있다. 일부의 뒤트임 수술이 마치 윤곽수술을 한 듯한 음영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뒤트임 수술은 수수 부위의 위쪽 피부와 결막을 적절히 처리해 흉터가 최소화 되도록 절개 부위를 봉합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위쪽 피부와 봉합할 지점을 어떻게 선택하는가에 따라 수술 후 부작용의 발생 여부나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만일 절개부위를 봉합하는 위치가 너무 위쪽이면 흉살이 많이 노출돼 눈꼬리가 부자연스러워질 수 있고, 너무 많이 내리는 경우에도 눈꼬리가 벌어져 뭉툭하게 되는 부작용이 우려된다.
바라본성형외과 오현배 원장은 “눈꼬리가 올라간 경우라면 2mm 내외로도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눈꼬리를 내리는 과정에서 골막 고정을 한번에 걸어줌으로써 안정적인 수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눈꼬리 인대를) 너무 많이 내리면 눈꼬리가 벌어져 뭉툭하게 되거나 붉은 흉살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의 기술과 역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