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후기금 7월 1일부터 4일간 인천 송도에서 10억 달러 규모 11개 사업 승인 심의 “산업은행 제출 최초 사업 심의”

입력 2018-06-27 15:54 수정 2018-06-27 16:52
녹색기후기금(GCF) 라마크리쉬나 대외협력국장 겸 전략기획실장이 27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오는 7월 1일부터 4일간 인천 송도에 있는 GCF 본부에서 20차 이사회가 개최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온실가스 감축 자체가 목표라기 보다는 사회변혁이 목표입니다.”

라마크 리쉬나(미국 국적) 녹색기후기금(GCF) 대외협력국장은 27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세계은행을 비롯 한국 인증기구인 산업은행(KDB) 등과 협력해 투자를 본격화하면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의 산업은행이 제출한 사업이 최초로 오는 7월 1일부터 4일까지 송도에 있는 GCF 본부에서 개최되는 제20차 이사회에서 승인을 앞두고 있다”며 “이번 이사회에서는 11개 사업에 약 10억 달러 규모의 지출이 승인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산업은행은 피지에 바이오매스 발전소 3기를 설치하고, 파푸아뉴기니에 바이오매스 발전소 1기를 건설해 72㎿의 전력을 생산하겠다는 사업제안서를 제출했다.

바이오매스 재생에너지는 목재와 같은 유기물질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산업은행이 제안한 사업의 총 규모는 4억3100만달러이며, GCF 지원금은 1억640만 달러를 요청했다.

현재 GCF 정규직 직원은 207명이며, 62개의 국적으로 구성돼 있다.

정규직 중 한국 국적 직원은 45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라마크리쉬나 대외협력국장은 “GCF 본부도시가 대한민국에 있기 때문에 북한에도 관심이 많다”며 “남북관계를 비롯 북미·북중·북일 관계가 진전되고 있어 기쁘다”고 역설했다.

그는 이어 “북한이 개발도성국에 속하고 기후변화 프로젝트를 위해 UNFCC(기후변화협약) 당사국으로 파리협정에 서명했기 때문에 국가기구가 형성되면 직접적인 일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의 경우 기획재정부가 국가기구로 참여하고 있으며, GCF 인증기구는 산업은행이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 GCF와 협력할 국가기구(NDA)를 지정하고, 인증기구를 만들 수 없을 경우 세계은행이나 한국산업은행과 손잡고 GCF와의 협력사업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6월 현재 GCF가 요구하는 기준에 적합한 수준을 갖춘 전세계 59개 인증기관 및 기구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GCF가 요구하는 기준은 사회문화적인 정책, 토착민과 관련된 정책, 여성을 중시하는 젠더정책 등으로 알려져 있다.

라마크리쉬나 대외협력국장은 “2020년까지 전세계적으로 매년 1000억달러를 모아 개도국을 돕게 된다”며 “수십년간 고립된 북한도 GCF와 손잡게 되면 이른 시일내에는 어렵겠지만 옳은 방향으로 진전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