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24일 자정(이하 한국시간) 2018 러시아월드컵 조별예선 F조 2차전에서 멕시코에게 1대2로 패했다. 결과는 아쉬웠지만 그동안 부진했던 경기력과 달리 내용면에선 칭찬 받을만했다. 장현수의 뼈아픈 실수만 아니었더라면 충분히 승리까지도 기대해 볼법한 경기였다.
예상대로 디펜딩 챔피언 독일을 꺾고 한껏 자신감이 차오른 멕시코는 공격적인 4-3-3 포메이션으로 나왔다. 1차전 독일전과 비교해서 딱 한 명 바뀐 선발라인업이었다. 로테이션을 중요시 하는 후안 카를로스 오소리 감독인지라 반드시 승리를 가져오겠다는 의지가 돋보였다.
한국은 이러한 공격적인 멕시코를 상대로 안정적인 수비를 해냈다. 지난 스웨덴전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수비라인은 탄탄했고,중앙에서 패스가 잘 되지 않을 경우 과감하게 롱패스로 상대 뒷공간을 노렸다. 마치 멕시코가 지난 1차전에서 독일을 상대하는 모습을 보는 듯 했다. 당시 멕시코는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되는 상황에서의 빠른 사이드 전환과 역습 속도를 보여주며 독일을 괴롭혔다.
이번엔 그것을 한국이 보여줬다. 손흥민과 황희찬, 문선민은 상황에 따라 중앙으로 좁히거나 2선으로 내려와 후방 라인에서 공을 운반했다. 공간을 찾기 위한 유기적인 움직임이었다. 득점으로 연결되진 못했지만 발 빠른 공격수들을 앞세워 전개한 위협적인 역습이 꽤 여러 차례 통했다.
또한 중앙 밀집 형태의 수비로 선수들이 쉴 새 없이 뛰며 중원에서 시작되는 멕시코의 빌드업 과정을 방해했다. 한국의 단단한 수비에 중원에서의 공격 작업이 무력화되자 멕시코는 측면으로 공격의 물꼬를 틀려는 모습이었다.
공을 탈취하기 위해 몸을 사리지 않았다. 이날 한국 대표팀은 4개의 옐로카드를 받았고, 24개의 반칙을 했다. 끊임없이 상대를 압박하고, 찬스를 허용하지 않으려고 파울로 상대 공격 흐름을 끊었다. 24개는 지금까지 러시아월드컵에서 한 경기 최다 파울 기록이다. 이렇게 탈취한 공은 곧바로 전방으로 배달됐고 공격진에 위치한 선수들은 공을 주고받으며 기회가 오면 곧바로 슛을 시도하려는 적극적인 공세를 펼쳤다. 한국은 이번 경기에서 총 17개의 슈팅을 퍼부었다.
특히 문선민의 활동량과 투지가 돋보였다. 몸이 상할까 걱정될 정도로 거칠게 경기장을 누볐다. 저돌적인 돌파로 계속해서 멕시코의 수비 뒷공간을 노려주고 후방에서 날라온 공중볼을 지켜내는 등 한국의 공격을 이끌었다. 월드컵 무대를 처음 밟는 자신의 데뷔전에서 신태용 감독의 믿음에 보답하는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줬다.
영국 ‘인디펜던트’는 한국-멕시코전을 분석하며 “아프리카 축구는 월드컵서 힘과 속도, 피지컬을 앞세운 축구로 평가받는다. 한국 역시 그 명단에 추가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고 전하기도 했다.
그런만큼 충분히 승리를 기대해볼 수 있을만한 경기력이었기에 흐름을 이어가고 있던 분위기에 완전히 ‘찬물’을 끼얹은 카를로스 벨라의 페널티킥 골, 치차리토의 두 번째 골 이전 과정에서 기성용이 당한 파울 장면 등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다음 상대는 최근 조별예선 두 경기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지만, 그래도 ‘최강’으로 꼽히는 독일이다. 신태용 감독은 경기가 끝난 후 “패했지만 후회 없는 경기였다”며 만족감을 드러냄과 동시에 “마지막 독일과의 경기도 오늘 같은 투혼으로 포기하지 않겠다”고 각오를 드러냈다.
한편 F조의 운명을 가리게 될 월드컵 조별리그 최종전은 동시간대에 열린다. 27일 밤 11시, 한국은 독일과 카잔에서 경기를 치르고, 멕시코와 스웨덴은 예카테린부르크에서 맞대결을 펼친다. 독일을 꺾은 후에, 이후 치러질 멕시코-스웨덴전에서 멕시코가 승리한다면 독일과 스웨덴, 한국 3팀이 모두 1승 2패인 상황에 놓이게 된다. 2골 이상의 차이로 독일을 이겨야 16강 진출을 노릴 수 있는 한국이다.
송태화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