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보낸 러브콜에 첫 답변을 내놨다.
앞서 아베 총리는 16일 니혼TV와 가진 인터뷰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 비용은 물론 북한 비핵화에 드는 비용을 일본이 부담할 뜻이 있다고 밝혔다.
이날 아베 총리는 “핵·미사일 및 납치문제가 해결되고 북한과 국교 정상화가 이뤄진 뒤 경제적 지원을 하겠다”며 “핵 폐기에 드는 비용은 북한에 주는 것이 아니라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에 드는 비용”이라고 말했다.
또 그동안 주장해왔던 납치 문제의 해결 기준을 조금 낮추는 듯한 모습까지 보이며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북한은 (납치문제와 관련해) 새로운 시작을 할 것이라면 납치 피해자 (진상)을 우리에게 모두 설명한 뒤 피해자를 귀국시키는 것이 해결”이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모습은 일본이 한반도 문제에서 소외되는 것에 대한 위기감으로 해석됐다.
이후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 등 일본 언론들은 지난 18일 아베 총리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가능성을 연이어 보도했다. 최근에는 일본 정부가 북한 비핵화를 위해 자국의 핵폐기 전문가를 파견할 용의가 있다는 입장을 미국 측에 전달했다고 스푸트니크와 교도통신이 23일 밝혔다.
이같은 일본의 적극적인 러브콜에 북한이 관영매체를 통해 첫 반응을 보였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2일 ‘성근한 과거청산에 일본의 미래가 있다’는 제목의 논평을 공개하며 “일본이 격변하는 현실에 따라 서려면 과거 죄악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인정하고 무조건 배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조일 관계가 오늘까지 적대관계로 남아있는 것은 일본이 과거 죄악을 청산하지 않고 대조선 적대시 정책을 집요하게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일본은 과거 죄악을 덮어버릴 수도 없고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도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과거 죄악을 솔직히 인정하고 철저히 배상하는 것만이 일본이 살길”이라고 덧붙였다.
논평 마지막에는 “식민통치 기간 일제가 강행한 조선 민족 말살 정책은 역사에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야만적인 것이었다”면서 “조선 민족 가슴에는 일제식민통치 수난기에 침략자에 의해 강요된 불행과 고통의 뼈아픈 상처가 아물지 않는 응어리로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문지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