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수돗물 발암물질 검출에 대한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대구·경북 지역방송 TBC는 22일 대구상수도사업본부의 ‘과불화화합물 대책’ 내부 문건을 단독 입수해 낙동강 원수에서 신종 환경 호르몬 과불화헥산술폰산과 과불화옥탄산이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논란이 일자 시 상수도사업본부 측이 입장을 발표했다.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대구 수돗물에서 미량 검출된 물질은 과불화화합물 중 PFHxS(과불화헥산술폰산)로서 발암물질이 아니다”라며 “유해성이 있는 PFOA(퍼플루오로옥타노익산)와 PFOS(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는 검출되지 않거나 극미량이다”고 밝혔다.
이어 “PFHxS는 인체유해성이 입증되지 않아 외국에도 법적기준은 없고 권고기준으로만 설정해 관리 중”이라며 “환경부에서는 7월 중에 과불화화합물 중 3종(PFOA, PFOS, PFHxS)을 먹는물 수질 감시 항목으로 설정하여 꾸준히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또 “과불화화합물질이 검출된 기간은 단기간이며 환경부에서 구미공단의 과불화화합물 배출업체를 추적하여 완벽히 차단하였음을 알린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이날 기자 브리핑에서 “수돗물 사용에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며 발생원에 대한 조치가 지난 12일 완료돼 배출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부터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인 과불화핵산술폰산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출원이 된 구미공단 내 관련 업체를 확인하고 시정조치를 했으며 이후 관련 농도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과불화핵산술폰산은 법적 기준으로 설정돼 있지 않고 일부 국가에서는 권고 기준으로만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며 “극히 미량의 과불화화합물이 낙동강에서 검출됐으나 발생원에 대한 조치가 완료됐으며 앞으로 신종 유해물질 관리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세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