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시절 대통령 경호처가 청와대를 경비할 목적으로 드론 4대를 800여만원에 구입했다. 하지만 납품업체가 폐업해 써보지도 못하고 돈만 날린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감사원은 2003년 이후 15년 만에 처음으로 실시한 대통령 비서실·대통령 경호처·국가안보실을 기관운영 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감사원에 따르면 대통령 경호처는 2016년 12월 청와대 주변 경비에 활용하기 위해 드론 4대를 835만원에 구매했다. 드론에는 청와대와 주변 공역 비행을 할 수 없도록 비행제한프로그램이 내장돼 있다. 따라서 청와대에서 사용하려면 비행제한프로그램을 해제해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원격으로 해제할 수 있다. 실제로 서울시의 경우 같은 제품을 구입해 원격으로 해제했었다. 대통령 경호처도 이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납품업체 대표가 “본사로 가져가 해제해야 한다”고 말하자 새로 산 드론 4대와 기존 드론 중 수리를 요청할 드론 2대 등 총 6대를 넘겼다. 하지만 납품업체가 2017년 3월 폐업하는 바람에 대통령 경호처는 드론 6대를 모두 돌려받지 못했다.
감사원은 대통령 경호처장에게 “앞으로 비행제한프로그램을 해제하지 않은 채 드론을 구매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관련자에게 주의를 촉구하라”고 주의 조치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