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에 시달리다가 고국을 탈출한 예멘인 500여 명이 제주도에서 난민 신청을 한 것을 놓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이런 가운데 제주평화인권연구소 ‘왓’의 신강협 소장이 “언어나 문화 차이, 기대했던 근로형태와 다르다는 고충이 있지만, 정황상 이분들이 테러리스트이거나 무장세력, 폭력적인 집단일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주장했다.
신 소장은 21일 C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김혜영입니다’와의 인터뷰를 통해 “예멘 난민들은 반군이나 정부군에 속하기 싫어서, 어찌 됐든 전쟁에 반대해서 오신 분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는 난민 인정 심사 기준이 상당히 까다롭다. 이런 것들을 통해 위험성이 있는 난민들은 걸러질 수 있다고 보여진다”며 “우리나라의 사법체계는 허술하지 않다. 난민들에 대한 관리 등은 철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예멘인들이 지금 어떤 점 때문에 가장 힘들어하냐’는 질문에 “대부분 아랍어를 많이 쓴다. 난민들의 학력 수준이 높아 영어를 쓰시는 분도 꽤 많다. 그런데 의사소통이 안돼서 갑갑해한다”며 “그다음으로는 우리나라에서 하는 노동형태와 자신들이 기대했던 노동형태가 다르니까 힘들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난민 인정 비율이 굉장히 낮은 걸로 알고 있다. 왜 이렇게 박하냐?’는 질문에 “박한 이유는 법무부가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뭐라고 답변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면서도 “다만 국제사회에서 난민 협약이나 난민법이 갖춰진 나라치고는 인정 비율이 굉장히 박하다고 소문이 나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권단체들 같은 경우에 심사를 엄격하게 하는 것을 반대하는 건 아니지만, 인도주의 측면에서 충분히 수용될 만한 분들도 굉장히 까다로운 조건에 의해 탈락이 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조금 개선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예멘 난민을 수용해선 안 된다는 청원 참여자가 많다. 아무래도 이슬람 무장단체 IS에 대한 우려 또 무슬림에 대한 편견도 작용한 것 같은데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에 “일단 국민의 세금을 가지고 예멘 분들을 도와주신다고 하는 것은 대부분 다 해명이 된 것 같다. 국가예산으로 이분들을 지원해준 것은 단 1건도 없다”면서 “만약 이들이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에는 그 지위가 박탈돼 본국으로 송환된다. 이것은 사형이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스스로도 많이 조심하고 있어 사실상 범죄의 개연성이 굉장히 낮다”고 말했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