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이 17일 “천안함 괴담은 인양 8년이 지난 뒤에도 끊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한 대학교수가 천안함 폭침을 재조사해 북한 소행이 아닐 경우 남한이 공식 사과해야 한다는 글을 잡지에 기고해 논란이 됐다. 하 의원은 이 기고문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세월호 괴담은 배가 인양된 뒤 끝났는데 천안함은 인양 8년이 지난 뒤에도 괴담이 끊이지 않는다”며 “현 정부도 천안함 폭침은 북한이 배우라는 것을 인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일반 네티즌도 아니고 대학교수라는 사람이 뚜렷한 근거도 없이 괴담을 퍼뜨리는 건 정말 무책임한 일이다. 보수 정부와 진보 정부 모두 인정한 사실을 부정하려면 구체적인 근거라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토록 괴담을 퍼뜨리고 싶으면 교수 물러나시고 자유롭게 유포하시라 권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윤태룡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발행하는 통일시대 6월호에 <‘전략적 패러독스 상황’ 극복하고 ‘공동안보’ 향해 나아가자>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냈다. 윤 교수는 글에서 “천안함 사건을 재조사해 진실을 규명하고 만일 그 결과 북한에 엉뚱한 누명을 씌운 것이 밝혀지면 남측은 북측에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한다”며 “그것이 남북이 화해하고 더욱더 통일을 향해 매진하는 중대한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남북이 서로 역지사지의 자세를 공유할 때 비로소 우리는 통일을 향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민주평통은 대통령의 통일 정책에 대한 자문과 건의 기능을 하는 곳으로 의장은 문재인 대통령이다. 헌법 92조는 ‘평화통일정책의 수립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를 둘 수 있다’고 규정했다. 윤 교수의 기고문을 두고 민주평통 안팎에서는 쓴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민주평통 관계자는 “윤 교수 주장은 공식 입장이 아니다. 잡지 발간 직전 가제본 단계에서 글을 감수하는 담당자가 문제 되는 부분을 잡아내지 못한 사고이자 실수”라며 “평통이 정부의 정치적 성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번 일은 의도한 일이 아니다”라고 세계일보에 해명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