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8명 이상이 전자담배에 대한 객관적인 안전성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몸에 해롭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세금 부과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1.9%가 ‘전자담배에 대한 객관적인 안전성 검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17일 밝혔다. 최근 전자담배의 부작용 사례가 증가하는 것 같다고 느끼는 소비자도 40.8%에 달했다. ‘전자담배가 오히려 흡연을 부추길 것 같다’는 의견에는 50.2%가 공감을 나타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전자담배가 일반담배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했다. 응답자의 80.4%는 전자담배와 일반담배가 몸에 해롭긴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전자담배가 금연에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인식은 12.7%로 매우 적었다. 특히 응답자 절반 이상인 55.1%는 ‘전자담배에도 일반담배와 동일한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전자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는 컸지만 앞으로 전자담배 이용자는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했다. 응답자 중 60.5%가 ‘앞으로 전자담배 이용자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정부의 강력한 ‘금연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높아졌다. 금연정책과 관련해 ‘정부의 금연정책이 더 강력해져야 한다'는 의견이 54.6%로 ‘금연 여부는 개인이 결정해야 할 문제’라는 의견(41%)보다 우세했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
전자담배에도 세금부과해야
입력 2018-06-17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