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 논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엇갈린 지역 반응

입력 2018-06-16 10:45
월성1호기. 2018.06.15. 사진=한수원 제공

한국 최초 ‘가압 중수로형’ 원전인 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가 결정됐다. 고리 원전에 이어 두 번째로 폐쇄가 결정된 만큼 문재의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이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월성 1호기는 당초 설계수명 30년에 따라 2012년 폐쇄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2015년 2월 27일 원안위가 수명을 한 차례 연장하면서 오는 2022년 11월까지 운영될 예정이었다. 당시 노후설비 교체 및 안전성 강화를 위해 5600억원이 투입됐다. 이후 한수원과 지역 주민들 사이 보상 문제와 안전성 논란 등으로 2015년 6월이 돼서야 재가동이 시작됐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15일 서울 홍은동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이사회를 열고 노후원전인 월성1호기 조기폐쇄와 신규 원전인 천지(1·2호기), 대진(1·2호기) 사업을 종결하기로 결정했다.

한수원 측은 “한수원은 이번 이사회 결정에 따라 발생한 적법하고 정당한 지출비용의 보전 관련 사항은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추진하기로 했다”며 “월성 1호기 조기폐쇄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불안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월성 1호기의 조기 폐쇄 결정에 경주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노동조합은 성명을 통해 “월성1호기는 노후설비 교체 및 안전성 강화를 위해 5600억원을 투입해 2022년까지 10년 계속 운전 승인을 받은 안전하고 깨끗한 발전소다”며 “그런데 한수원 이사회는 정치 상황이나 특정 단체에 휘둘려 조기폐쇄라는 편파적 결정을 내렸다”며 반발했다.

이어 “계속 운전을 위해 투입한 비용 5600억원과 이미 집행한 지역상생협력금 825억원에 대한 손실은 이사회가 책임져야 한다”며 “한전 주식을 소유한 주민, 원전종사자, 일반 국민 대규모 소송인단을 구성해 이사진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은 “안전사회를 향한 희생과 땀의 정당한 결과인 월성1호기 폐쇄를 경주 시민사회를 대신해 대환영한다”고 찬성 의견을 나타냈다.

이어 “월성1호기는 수명연장, 고준위 핵폐기물과 삼중수소 대량 발생, 지진까지 더해지면서 핵발전소 위험을 상징하는 구조물이 됐다”며 “더는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을 둘러싼 주민 갈등과 대립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하고 국민이 불안에 떠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