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사진) 행정부의 중국을 겨냥한 보복관세가 점입가경이다.
이번엔 1102개 첨단제품을 겨냥한 것인데 500억 달러(약 54조 9000억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
백악관은 1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중국의 지적재산권·기술 침해 행위에 대응해 미국은 산업적으로중요한 기술을 포함하는 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우정과 중국과의 관계는 내게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미중간의 무역은 오랫동안 매우 불공평했다. 이 상황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다"며 "이번 관세는 미국의 기술과 지적재산권이 중국으로 불공정하게 이전되는 것을 막고, 미중 사이의 무역 관계에 균형을 가져 오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 발표 12시간 전인 14일 오후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 윌버 로스 상무장관 및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불러 의견을 들은 뒤 관세 부과를 승인했다.
USTR은 백악관 성명 직후 공개한 관세품목을 보면 기존 명단에 있던 1333개 품목 중 소비재를 제외한 340억 달러 규모 818개다. 여기에 첨단제품 등 160억 달러 규모 284개 품목을 새로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된 것.
USTR에 따르면 관세 조치는 7월 6일 시행될 예정이며 공청회를 포함해 의견 수렴과 검토 과정을 거친 뒤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USTR은 "항공, 우주, 정보통신 기술, 로봇, 산업기계, 신소재, 자동차 등 '메이드인 차이나 2025' 산업 정책에 기여하거나 이익을 주는 산업 분야의 제품들에 초점을 맞췄다"며 "이번 목록에는 휴대전화나 텔레비전과 같이 미국 소비자들이 흔히 구입하는 상품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에서 "만약 중국이 미국 상품, 서비스 농산물 등에 대해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거나, 미국 수출업자나 기업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추가 관세 조치가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중국이 즉각적인 대응을 예고하면서 양국 간 무역 전쟁 위험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우리는 즉각적으로 같은 규모, 같은 강도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