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신경외가 정천기(사진) 교수 연구팀은 15일 이에 대해 경피적 내시경 수술의 ‘가성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결과를 내놨다. 속칭 가성비는 ‘가격 대비 성능 비율’을 뜻한다. 이를 척추 디스크 치료 분야에 적용하면 가격 대비 효과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연구팀은 2003년부터 20013년까지 10년간 총 5만6261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척추 추간판 탈출증(척추 디스크) 수술’ 의 양적 변화와 각 수술법의 비용 대비 치료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추간판 탈출증에서는 ‘개방 추간판절제술’이 가장 많이 이뤄졌고, 비용효과 측면에서는 ‘경피적 내시경 이용술’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해 각종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 수는 2003년 1만7997명에서 2008년 3만8264명으로 5년 사이 2.13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수술 증가 요인에는 다양한 요소가 있겠지만, 수술 대상이 많은 30~50대 인구 증가와 병원 수의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추간판탈출증 수술의 양적 증가와 더불어 대표적인 수술 방법의 변화도 있었다. 2003년 총 수술 중 71.2%를 차지했던 ‘개방 추간판절제술’은 2008년에는 점유율이 84.1%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척추체유합술’도 2003년 4.0%에서 2008년 6.6%로 증가했다.
반면에 ‘척추후궁절제술’은 8.1%에서 4.7%로 감소했고, ‘경피적 내시경 이용 추간판절제술’ 역시 16.7%에서 4.6%로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용효과 측면에서는 ‘경피적 내시경 이용술’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비용효과 분석 시 1%의 재수술율을 줄이는데 들어간 직접 의료비용을 평가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 수술 후 5년 내 재수술률은 ‘척추후궁절제술’이 10.77%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개방 추간판절제술(10.50%), 경피적 내시경 이용 추간판절제술(9.20%), 척추체유합술(7.56%)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이 같은 증가 추세는 2009~2013년 사이에서도 비슷한 양상이었다. 정 교수는 “추간판 탈출증에서 비용효과가 가장 좋은 수술방법은 경피적 내시경을 이용술이라고 할 수 있지만, 실제 환자들이 주로 선택하는 수술법은 다른 경우가 많다는 뜻”이라며 “이는 수술비중이 2차병원과 같은 중소병원에서 많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여 겨진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척추질환 분야 국제학술지 ‘스파인(Sp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