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신 IT기술이 접목된 축구장비 관련 특허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특허청에 따르면 IT기술이 결합된 축구장비의 특허는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74건이 출원된 것으로 집계됐다.
기술 분야별로는 2009년까지 훈련 및 게임 장치(37%), 축구공(18%), 경기장 관련 시설(18%)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2010년 남아공 월드컵 개최 이후 축구화, 분석기록 장치, 정강이 보호대 관련 출원이 큰 폭으로 늘었다.
출원인 유형은 2009년까지 개인이 80%를 차지했지만, 2010년 이후부터 개인 출원인 비중은 67%로 줄었다. 대신 중소기업 15%, 대학교와 연구소 6%, 대기업이 3%까지 올랐다.
이처럼 기술 분야가 다양해진 것은 사물인터넷(IoT) 등의 IT기술 발전이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일례로 각종 센서가 설치된 훈련 및 게임 장치는 사용자의 슈팅 동작을 감지해 슈팅 속력・방향・습관을 분석, 스크린이나 개인 태블릿에 결과를 출력해 효과적으로 슈팅 연습을 할 수 있다. 해당기술은 스크린 골프·야구와 같이 실내에서도 축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해 축구산업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은 축구공과 축구화도 인터넷과 연결했다. 내장센서를 이용해 축구공과 축구화에 가해지는 충격량, 축구공의 이동거리·속도 등을 감지해 그 결과를 선수와 관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밖에 정강이 보호대에 내장된 센서는 선수의 부상 위험도를 산출해 부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선수의 신체·유니폼에 부착된 무선인식(RFID) 칩에 전송된 선수나 공의 움직임을 분석할 경우 과학적인 경기분석도 가능하다.
김용정 특허청 주거생활심사과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축구와 IT기술이 결합된 축구장비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다”며 “축구산업은 전 세계가 시장인 만큼 IT 기술 경쟁력이 있는 우리 기업들의 활발한 진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