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정상회담에서 우리 역할 컸다…대북 제재도 완화해야”

입력 2018-06-13 14:09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 / 사진 = 뉴시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진전’을 촉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대북 제재 완화 목소리도 높였다.

중국 외교부는 12일 미·북 정상회담에 대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이끌 중요한 회담이라고 평가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베이징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한반도 문제 해결 프로세스는 중국이 제기한 쌍궤병행(雙軌竝行·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에 따라 나아가고 있다”면서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노력해왔고 앞으로도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측 발언은 대북 제재의 조정 또는 중단을 포함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날 겅솽 대변인은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하거나 준수할 경우 대북 제재를 중단하거나 해제해야 한다”고 적극 주장했다. 또 “북핵 문제에 대한 본질은 안보 문제이기 때문에 안보리는 외교적 대화를 통해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중국 환구시보도 논평에서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긑났으며 이제 대북 제재를 적당히 완화해야 할 때가 됐다”면서 “향후 미국은 북한과의 소통을 통해 적대감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북한의 비핵화를 통해 자국 안보를 확보하면서, 대북 제재 이전에 북한과 추진했던 경제 프로젝트의 복원을 통해 실익도 가져가려 한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북한은 4·27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 측에 원유 공급량을 늘리고, 북한 측으로부터는 여성 노동자들을 공급받는 등 대북 제재를 비껴가는 모습을 보여왔다.

한편 러시아 측에서는 6자회담의 틀을 되살리려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러시아 외무부는 정상회담 이후 논평에서 “모스크바와 베이징이 제시한 절차에 따라 북한 비핵화가 진행됐다”면서 “다자간 대화를 기반으로 정치적·외교적 절차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우리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