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오후 9시~자정 북한으로” 싱가포르 언론

입력 2018-06-12 17:05
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2일 오후 9시부터 자정(현지시간, 한국시간 오후 10시부터 13일 오전 1시) 사이에 북한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고 싱가포르 더스트레이츠타임스가 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좀 더 이른 오후 7시쯤(한국시각 오후 8시) 미국으로 향한다.

이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정확히 어떤 비행기를 타고 북한으로 돌아갈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이 같은 출국 계획에 대해 말했다고 더스트레이츠타임스는 보도했다.

앞서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리는 북미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이용했던 중국국제항공 소속 보잉 747기를 포함, 중국 고위급 전용기 2대가 이날 오후 베이징에서 이륙한 것으로 확인됐다.

항공기 경로 추적사이트 플라이트레이다24는 중국국제항공 CA62편이 CA63편은 각각 이날 오후 12시54분(현지시간)과 오후 1시26분에 중국 베이징(北京) 서우두(首都) 공항에서 이륙해 싱가포르로 향했다.

이 항공기는 기존 항로대로 운항할 경우 이날 오후 6~7시쯤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의 소식통은 “북미 정상회담 종료 후 김정은 위원장을 태우기 위해 이 항공기가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과 북·미 정상회담을 가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좀 더 이른 시각인 오후 7시쯤 미국으로 출발한다고 백악관은 11일 밝힌 바 있다.

◇“포괄적” 북미 합의문… CVID 대신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담겼다

한편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북·미 정상회담 공동합의문에는 미국의 북한 체제보장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명시적으로 담겼다. 하지만 ‘표현’은 당초 예상과 차이가 있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회담 전날까지 미국이 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강조한 CVID(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즉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란 문구 대신 판문점 선언에서 사용됐던 ‘완전한 비핵화(Complete Denuclearisation)’란 용어를 사용했다.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에서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을 마친 뒤 합의문 서명식을 가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문에 대해 “굉장히 포괄적인 문서이고 우리의 좋은 관계를 반영하는 결과물”이라 밝혔고 김 위원장은 “과거를 딛고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서명”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을 마친 뒤 합의문을 들어 보였다. CNN은 이 장면을 찍은 사진을 확대해 담긴 내용을 보도했다.

합의문에는 미국의 북한 체제보장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가 담겨 있다. 합의문에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체제보장을 제공하고(security guarantees) 김정은 위원장은 강력하고 흔들림 없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를 다시 확고히 했다”고 쓰여 있었다. 이는 4·27 남북정상회담의 결과물인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한 것이다.

합의문에는 미국과 북한이 평화와 번영을 위해 새로운 북·미 관계를 수립하고, 한반도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내용도 담겼다. 또 미국과 북한은 이미 확인된 사람들의 즉각적 송환을 포함해 6·25 전쟁 포로들의 유해를 복원할 것을 약속한다고 합의했다.

다만 CVID는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았다고 AFP통신은 보도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회담 하루 전날까지 미국이 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CVID라고 밝혔다. 하지만 북한의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라는 문구로 대체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