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북·미 정상회담 확대회담을 마친 뒤 업무오찬을 시작했다.
두 정상은 이날 오전 단독정상회담과 확대정상회담을 마치고 오찬장에 나타나 활짝 웃으며 마주 섰다. 북한과 미국은 각각 7명씩 업무오찬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찬을 시작하기에 앞서 언론사 카메라를 보며 “잘 나오게 해 달라” “잘생기고 멋지게 나오게 해 달라”고 농담을 던졌다.
이 자리에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도 등장했다. 김 부부장은 북·미 정상회담과 확대정상회담 당시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오찬에 참석한 북한 7명 인사의 명단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업무 오찬에서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존 켈리 비서실장,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사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 성김 주필리핀 미국대사, 매슈 포팅어 백악관 수석 아시아 담당 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북측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을 비롯해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 노광철 인민무력상, 최선희 외무성 부상,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한광상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등이 참석했다.
오찬에선 소갈비를 메인디시로 차린 코스 요리가 준비됐다. 백악관이 12일 북·미 정상회담 오찬 메뉴를 공개하며 새우와 아보카도로 만든 칵테일 샐러드, 꿀과 라임 드레싱에 문어를 곁들인 그린 망고 케라부, 한국식 궁중음식 오이선 등으로 식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메인디시는 레드와인 소스에 감자와 브로콜리를 곁들인 소갈비, 칠리소스로 양념한 돼지고기와 중국 동부 양저우식 볶음밥, 대구조림이었다. 두 정상은 다크초콜릿 타르트 가나체, 체리소스를 얹은 하겐다스 바닐라 아이스크림, 프랑스식 빵 트로페지엔의 달콤한 디저트로 오찬을 마무리했다.
전형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