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11일 중국이 정전협정 서명 당사국으로 적극적인 개입 의지를 드러내면서 6·12 북미 정상회담에 이은 남북미 3자 종전선언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정 전 장관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중국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에 일어날 동북아 국제질서의 대변혁, 그 과정에서 주역이 돼야 되겠다는 생각을 강하게 갖고 있기 때문에 종전선언에 (중국이) 들어가야 된다는 얘기를 강하게 하고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의 싱가포르행이 가능성이 낮아진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미국 쪽에서 남북미 종전선언은 지금으로서는 곤란하다는 얘기를 (남한에) 전달했고, 이에 문 대통령께서 못 가게 되지 않았는가 생각한다”며 “북한이 중국의 양해를 구해 남북미 종전선언이 가능할 것으로 봤는데, 설득이 안 되면서 ‘이번 회담에서 (한국과 중국) 둘 다 뺍시다’ 이렇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미 간에는 그런(종전선언) 뜻으로 얘기가 될 수 있다. 앞으로 종전 문제를 기민하게 협의하기로 했을 것”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이) 한 번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얘기를 했다. 7월쯤 다시 한 번 만나 종전선언 문제가 결론날 것 같다”고 밝혔다.
정 전 장관은 그러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친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을 7월 평양으로 초청한다는 보도가 있었다”며 “내일 결론이 안 난다면 완전한 비핵화와 미국의 체제안전 보장 및 경제지원 보장 등을 하기로 했다는 큰 틀의 합의만 발표를 한 뒤, 구체적인 것은 다음 회담에서 결론내기로 했다는 식의 발표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종전선언도 거기에서 결론이 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북미 정상회담이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선 “그래야만 될 수밖에 없는 사정이 있다. 경제 발전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기대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높다”며 “거기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김 위원장이 미국의 요구를 시원시원하게 들어주고, 미국으로부터 그에 대한 보상을 받으려고 하는 식의 협상을 하지 않겠는가”라고 분석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