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종전 합의’ 여부에 촉각이 모이고 있다. 합의가 어떤 형태로든 성사된다면 한반도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목표로 추진하는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논의가 빠르게 진척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남북미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모습을 당장은 볼 수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아직 북미 양측이 문재인 대통령을 싱가포르로 초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남북미 정상회담으로 바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 북미 정상회담 이후, 백악관에서?
이번 북미 정상회담 이후 어느 정도 시간을 두고 남북미 3자 종전선언이 나올 수 있다. 북미가 먼저 종전합의를 한 뒤 남북미 3자 종전선언 절차로 갈 수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남측 정부로서는 협의 진행 상황에 따라 시간을 갖고 종전선언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한다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미루어보면 향후 복수 회담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완결된 형태의 ‘종전선언’을 합의문에 포함
이번 북미 정상회담에서 완결된 형태의 ‘종전선언’을 내놓기보다는 합의문에 해당 문구를 포함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를 테면 4월 27일 남북 정상 간 ‘판문점 선언’의 종전선언 관련 내용을 지지한다는 문구를 넣거나, 향후 북미가 종전선언을 추진한다는 수준의 내용이다.
◇ 9월, 제 73차 유엔총회서 이뤄질 수도…
이번 북미 정상회담의 ‘종전선언’ 여부를 떠나 만약 남북미 종전선언이 싱가포르 회담 이후로 추진된다면 정전협정일인 7월 27일 또는 9월 중하순 열리는 제73차 유엔총회에서 이뤄질 수도 있다.
아울러 11월에 미국 중간선거가 있는 만큼, 그 사이 9월이나 10월 북미 정상회담이 다시 열릴 가능성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연합뉴스를 통해 “당장 7월은 너무 촉박해 3국 정상이 만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 9월 유엔총회가 김 위원장으로서는 국제사회에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하고 정상국가 지도자라는 점을 각인시킬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남북미 3국 외무장관 회담 통한 ‘종전선언’
종전선언 절차를 앞당기는 차원에서 남북미 3국 외무장관 회담을 통한 종전선언이 추진될 수 있다. 북한의 선제적이고 과감한 비핵화 조치를 끌어내기 위해서다.
남북이 대립 양 주체라는 점에서 이번 회담 마지막 순간까지 남측 참여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여전히 나오고 있다. 청와대는 “남북미 회담 일정은 미정”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위원장은 12일 오전 9시(현지시각)부터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할 예정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