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동 대공분실, 민주인권기념관으로 탈바꿈 “민주주의 미래 여는 공간 될 것”

입력 2018-06-10 17:51
사진 = 고 박종철 열사 사망 31주기 하루 전인 13일 서울 용산구 옛 남영동 대공분실(현 경찰청 인권센터) 모습. 뉴시스

남영동 대공분실이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간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과거 국가폭력의 대표적 장소였던 서울 남영동 옛 대공분실을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6·10 민주항쟁 31주년 기념식에서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 대독한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의 민주주의 역사에는 고문과 불법감금, 장기구금과 의문사 등 국가폭력에 희생당한 많은 분의 절규와 눈물이 담겨 있다”며 “그 대표적인 장소가 남영동 대공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주주의자 김근태 의장이 고문당하고 박종철 열사가 희생된 이곳에 ‘민주인권기념관’을 조성할 것”이라며 “민주인권기념관은 아픈 역사를 기억하며 동시에 민주주의의 미래를 열어가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문 대통령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비롯해 공공기관, 인권단체들, 고문피해자와 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이 이 공간을 함께 만들고 키워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사진 = 옛 남영동 대공분실 모습. 뉴시스

남영동 대공분실은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 열사가 물고문을 받다 숨진 곳으로 그해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된 곳이다. 이후 보안분실로 쓰여 오다 남영동 대공분실을 폐쇄하라는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2005년 10월 경찰청 인권센터로 바뀌었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국가폭력의 주체였던 경찰이 대공분실을 운영하고 있는 점 등을 이유로 시민사회의 품으로 돌려 달라고 계속해서 요구해 왔다.

정부는 남영동 대공분실의 관리권을 행정안전부로 이관한 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중심으로 관리를 위탁할 계획이다. 남영동 대공분실의 관리권 이관 절차는 내년 초에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인권기념관추진위원회 등 시민사회 주도로 남영동 대공분실에 대한 앞으로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정부, 민주화운동가, 역사학자 등이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방안이 결정된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건물의 역사성, 상징성을 감안해 최대한 남영동 대공분실 원형을 보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며 “일반 시민들의 추모, 체험, 교육 등이 가능한 형태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태화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