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싱가포르를 방문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위해 모두 3대의 항공기를 띄운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기 3대를 ‘첩보비행’ 수준으로 동원해 장거리 비행에 나선 김정은 위원장의 동선을 숨기려는 등의 의도로 분석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부의 한 소식통은 “오늘 새벽 평양에서 IL(일류신)-76 수송기 1대가 이륙해 싱가포르를 향해 비행했다”면서 “오전 8시30분께 에어차이나 소속 항공기 1대, 그리고 1시간가량 뒤에 김정은 위원장 전용기 ‘참매’ 1호가 순차적으로 평양 순안공항을이륙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역사적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싱가포르로 가는 김 위원장을 위해 이날만 모두 3대의 항공기를 동원한 것이다.
정보 당국은 맨 먼저 출발한 항공기를 IL-76로 추정했다. 1970년대 초반 생산된 IL-76은 최대 항속거리 6100㎞, 최대 이륙중량 17만㎏,최고속도 시속 850㎞에 이른다.
이 수송기에는 지난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이 탔던 벤츠 방탄차가 실려 있을 것으로 정보 당국은 추정했다. 이 방탄차는 자동 소총과 수류탄, 화염방사기, 화염병, 화생방 공격 등을 막아낼 정도로 특수 제작됐다. 수송기에 실려 있을 것으로 보이는 이동식 화장실은 김 위원장의 건강 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려고 동원됐다.
이어 에어차이나 소속 보잉 747 기종의 항공기는 중국 고위급 전용기로 이용된다. 북한이 이번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임차했을 것으로 보이는 이 항공기에 김정은 위원장이 탑승했을 것으로 정보 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정보 당국은 김정은 위원장의 전용기 참매 1호 동원에 대해 예비용 항공기로 관측했다.
당국의 한 소식통은 “참매 1호에 김정은 위원장이 탑승했을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면서 “참매 1호를 띄운 것은 김정은 위원장이 어느 비행기에 탔는지에 대한 정보를 감추려는 목적도 있을 수 있고, 회담 지원 인력과 C4I(지휘통신) 가동 기술진, 경호인력 등을 태웠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참매 1호는 옛 소련 시절 제작된 ‘일류신(IL)-62M’을 개조한 것으로 제원상 비행거리가 1만㎞에 달해 4700㎞ 거리인 싱가포르까지 재급유 없이 비행할 수 있다.
박재현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