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올해 장애인 복지예산을 지난해 보다 20% 올리는 등 장애인 복지와 자활정책을 강화한다고 8일 밝혔다.
올해 장애인 지원사업 예산은 1848억원으로 이는 지난해 1535억원보다 20.4%(313억원)나 늘어난 것이다.
이는 월평균 200명씩 늘어나는 지체·시각·청각·언어·발달장애·뇌병변·정신장애인을 지원하고 배려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3월 현재 인천 관내 장애인은 13만8760명으로 파악됐다. 관련 복지시설은 170곳이다.
예산의 상당 부분은 장애인활동보조금(530억원)과 장애인연금을 비롯한 생계보장사업(600억원) 등 각종 사업에 쓰이고 있다.
주요 사업은 장애인 가족여행과 휴식지원, 전국 유일의 장애인 자세유지기구 보급, 수어통역센터(1곳→5곳 확대) 운영 등이다.
장애인의 자유로운 활동을 위해 장애인 콜택시 290대도 운행한다.
또 장애인 학대예방과 피해장애인 종합지원 할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을 국내 처음으로 지난해 8월 문을 열었다. 발달장애인지원센터는 2016년 12월부터 운영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 자활을 위해 32곳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을 운영하고 580여명을 대상으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도 펼치고 있다.
시는 지난해 11월 남구 학익동 시각장애인복지관 부지에 연면적 766㎡, 3층 규모의 첫 점자도서관을 세우기도 했다.
오는 2021년에는 서구 검단에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을 준공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장애인들의 자립과 사회통합을 위해 맞춤형 복지와 자활사업을 강화하고 있다”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인천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인천, 장애인 복지예산 전년 대비 20% 상향 장애인 월평균 200명씩 증가
입력 2018-06-08 18:58 수정 2018-06-10 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