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은 6·13 지방선거 사전투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7일 전국 당원들에게 ‘사전투표 총동원’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지침은 17개 시·도당에 일제히 하달됐다고 한다. 한국당 당원은 총 330만명 규모다.
한국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는 이미 3주 전에도 각 시·도당에 비슷한 지침을 내려보냈다. 사전투표 기간인 8~9일에 330만 당원이 각자 1명씩이라도 데리고 투표에 임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6·13 지방선거에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유권자는 4290만명이다. 당원이 지인 1명씩만 투표에 참여토록 유도하면 사전투표율 15%를 넘기는 700만명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본다. 이날 내려진 지침은 ‘사전투표율 20% 이상’을 목표로 이를 행동에 옮기도록 독려하는 차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당은 사전투표율이 높아야 유리하다고 예상하고 있다. 그래야 지방선거 전날 열리는 북·미 정상회담이 투표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이번 지방선거는 문재인정부의 실정을 심판하는 선거인데 한반도 평화 이슈로 분위기를 덮어버렸다”며 “북·미 정상회담 전에 열리는 사전투표에 지지층을 최대한 많이 결집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당이 3주 전 내린 지침에는 특히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사전투표를 적극 독려하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에 불만이 있는 계층의 표심을 잡겠다는 포석이다. 김명연 한국당 전략기획부총장은 “사전투표는 각 당이 조직력을 통해 지지자들을 최대한 투표장으로 보내는 일종의 시험대”라며 “조직력 훈련 차원에서도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당과 마찬가지로 더불어민주당도 “사전투표율이 높아야 유리하다”고 말하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는 지지율 고공행진을 실제 득표로 이어가려면 투표율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한다고 본다. 김민석 민주연구원장은 6일 “선거를 앞두고 여론조사 결과를 실제 투표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사전투표 독려는 전체 투표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일환”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들, 일부 장관은 이미 8일 사전투표를 하겠다고 밝혔고, 추미애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도 9일 사전투표를 할 예정이다. 여권 지도부의 사전투표 참여는 이번 지방선거에 처음 나타난 풍경이다. 민주당은 지방선거에서 사전투표율 20%, 전체 투표율 60%가 넘을 경우 남녀 의원 각각 5명이 머리를 파란색으로 염색하겠다는 이색공약까지 냈다. 당 관계자는 “투표율이 높을수록 진보 정당에, 투표율이 낮을수록 보수 정당에 유리하다는 통설도 무시할 수 없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