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 다 ‘손님’인 북미정상회담… 비용 ‘더치페이’ 방식은

입력 2018-06-06 16:19

북·미 정상회담에 드는 비용은 양측이 ‘더치페이’로 지불하게 될 전망이다. 이번 회담은 개최국과 방문국이 분명히 구분되는 통상적 외교행사와 달리 제3국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따라서 개최국이 상대방의 체제비용을 부담하는 관례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북·미 양측은 의전·경호 실무접촉에서 회담비용 분담 문제 역시 상세히 논의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외교 소식통은 6일 “정상회담 개최에는 회의장 임차와 세팅, 오·만찬 행사 등을 포함해 상당한 비용이 든다”면서 “북·미 정상회담처럼 제3국에서 열리는 행사라면 비용은 각자가 부담하게 된다”고 말했다.

여러 나라가 참석하는 다자외교 행사에서 주최국은 회의장과 공동 프레스센터 임차비와 운영비, 공식 환영만찬 비용 정도만 부담한다. 각국 대표단의 체제비용은 각자가 지불해야 한다. 이번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다자외교와 유사한 원칙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가 의전과 경호 등 일정 정도 편의 제공은 해주더라도 호텔비와 식비 등은 북한과 미국이 나눠서 부담해야 한다는 뜻이다.

미국 측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대표단의 체제비를 대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정부는 북한의 회담 참가비용을 지불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다른 나라에게 비용을 대신 내달라고 요청한 바도 없다”고 말했다.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

더치페이라고 하더라도 모든 행사마다 절반씩 나눠서 내는 것은 아니다. 오찬은 북한이, 만찬은 미국이 호스트 역할을 맡아 상대 측 정상에게 식사를 대접할 수 있다. 양 정상이 머무는 숙소 비용은 각자 지불하되, 회담장 임차비와 제반 비용은 절반씩 부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조율은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과 조 헤이긴 미 백악관 부비서실장 간 실무 접촉에서 상세히 논의됐을 것으로 보인다. 외교 소식통은 “외교 의전의 핵심은 서로 불편하지 않게 하는 것”이라며 “비용 부담은 체면 문제도 있기 때문에 양측이 실무적으로 오해가 없도록 세밀히 협의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