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사전투표 소식에 싱가포르 일정 때문이라는 추측이 이어지자 청와대가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4일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8일 사전투표를 하기로 했다”며 “대통령뿐 아니라 3명의 청와대 실장과 청와대 비서관, 행정관 등 많은 분이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사전투표 결정에 대해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차원”이라며 “사전투표율이 전체투표율과 대단히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국 선거가 3개가 있는데 역대 지방선거가 40%대까지 떨어지기도 하는 등 다른 두 선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고한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사전투표가 25%를 넘기면 프리허그를 하겠다고 했던 개인적인 인연도 있다”고 부연했다.
“2016년 총선 때 12.2%의 사전투표율을 보이면서 19대 총선 때 54.2%였던 투표율을 58%로 끌어올렸다”고 한 김 대변인은 “지난 대선 때도 사전투표가 26.1%로 전체 투표율을 77.2%로 끌어올렸다”고 했다.
대통령이 지방선거나 총선, 대선 등 주요 선거에서 투표 당일이 아닌 사전투표에 참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때문에 이번 사전투표가 12일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 때문이라는 추측이 이어졌다.
북미 정상회담 이후 남북미 3국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그러나 김 대변인은 “사전 투표는 싱가포르 일정과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여기서 언급된 싱가포르 일정은 12일 북미 정상회담 직후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남북미 3자 회담과 종전선언을 의미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1일 백악관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만난 후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종전선언이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문 대통령은 5‧26 남북 정상회담 직후 ‘남북미 3자 종전선언’을 언급하며 3자 종전 선언을 공개적으로 제안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까지 13일 회담 등 구체적인 일정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