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에선 유권자 4290만7715명이 후보자 9363명을 놓고 투표해 광역 및 기초 단체장과 의원 4028명을 선출한다. 4290만7715명이 투표하는 데 들어가는 총비용은 1조700억원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4일 “유권자 한 명의 투표를 위해 약 2만5000원이 투입된다”면서 “투표하지 않을 경우 2만5000원을 버리는 셈”이라고 밝혔다.
선관위는 ‘숫자로 보는 지방선거’ 자료를 통해 이번 지방선거에 드는 돈을 설명했다. 총 투입비용 1조700억원은 경기도 김포시의 올해 예산과 맞먹는다. 선거를 위한 물품·시설·인력에 5113억원이 든다. 각 정당에 국고보조금 457억원이 지급되고, 여성추천보조금 27억원과 장애인추천보조금 5억원도 지원한다. 재·보궐 선거 비용은 67억원이다. 선거가 끝나면 3000억원대 선거보전비용도 써야 한다.
유권자 한 명의 투표를 위해 2만5000원이 지출되는 구조여서 투표율이 4년 전 지방선거처럼 56.8%에 불과할 경우 계산상으로 4622억원이 버려지는 셈이다. 올해 경기도 강화군 예산보다 큰 돈이 낭비된다. 전국 지자체 예산이 310조원 규모인 것을 감안하면 유권자 한 명이 행사하는 투표의 파생가치는 2891만원 정도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투표용지와 후보자의 선거공보·벽보에 사용될 종이는 1만4728톤이나 된다. 종이 1톤을 생산할 때 30년 된 나무 17그루가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이번 선거로 25만376그루가 베어지는 셈이다. 이 나무를 모두 심으면 제주 여미지식물원(3만3940평)의 7배, 독도(5만6000평)의 4.5배 규모의 숲을 조성할 수 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