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불규칙하게 떨리는 심방세동의 발병 부위를 영하 75도로 얼려서 한번에 제거하는 시술이 국내 처음으로 성공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순환기내과 박경민 교수가 지난달 30일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처음 풍선냉각도자절제술을 시도해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환자는 현재 안정적인 상태를 보이고 있다고 4일 밝혔다.
풍선냉각도자절제술은 심장에 가느다란 관을 밀어넣은 뒤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이상 부위를 찾아 이를 영하 75도 저온으로 얼려 한번에 없애는 시술이다.
주로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좌심방내의 폐정맥 입구 모양에 맞게 풍선이 부풀어 올라 빈틈없이 치료가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다.
기존 치료법인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은 심방세동 유발 부위를 한점 한점 찾아 태우는 방식이어서 차이가 있다. 풍선냉각도자절제술은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에 비해 재시술률과 재입원률이 낮다는 보고가 이어지면서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보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과 유럽은 물론 일본 중국에서도 대체 시술로 각광받고 있다.
박 교수는 “이 방법은 심방세동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새 치료법을 열어 줄 수 있는 기회”라면서 “추가 연구를 통해 환자 안전과 치료 결과를 높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심방세동은 부정맥의 하나로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분당 300~600회 가량 불규칙하게 떨리는 질환이다. 정상인 보다 뇌졸중 위험이 4~5배 가량 높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1%가 심방세동 환자로 추정된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