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핵 운동을 벌여 노벨평화상을 받은 비정부기구(NGO) ICAN이 오는 12일 열릴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 대표단의 체류비를 지불하겠다고 나섰다. ICAN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핵무기 금지 및 제거를 위한 노력에 공헌하는 차원에서 싱가포르 정상회담의 호텔비를 지불하겠다”고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의 가와사키 아키라 운영위원은 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북미회담을 진행하는 데 비용이 문제가 된다면 한반도 비핵화와 핵무기 없는 세계를 위해 지난해 받은 노벨평화상 상금을 기꺼이 쓸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는 핵무기 폐기를 위해 헌신해왔고, 이번 역사적 정상회담은 평화와 핵 폐기와 관련해 한세대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기회”라고 강조했다.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ICAN은 전 세계 101개국 소속 468개 NGO로 구성된 반핵단체다. 이 단체는 2007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 정기총회 기간에 결성돼 지속적으로 비핵화 활동을 벌여왔다. 특히 지난해 7월 핵무기 전면 폐기와 개발 금지를 목표로 하는 유엔(UN) 핵무기금지조약 채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에 대한 공로로 그해 노벨평화상과 상금 900만 크로나(약 11억원)를 받았다.
앞서 워싱턴포스트는 북한이 다른 나라가 자국 대표단의 체류 비용을 내주길 희망한다며 미국 정부는 싱가포르가 김 위원장의 호텔 숙박비를 대신 내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숙소로 선호하는 풀러튼 호텔은 하루 숙박료가 6000 달러(약 645만원)로 미국 정부는 미국이 대납하면 북한이 모욕으로 느낄까 봐 이런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북한이 정상 국가의 면모를 대외에 과시하기 위해 직접 부담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