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권자 10명 중 8명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적 노력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운영부터 무역 분쟁, 중동 외교, 총기 규제, 인종차별 논란까지 숱한 논쟁거리를 만들어 온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이처럼 폭넓은 지지를 받은 정책은 없었다.
2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와 여론조사기관 모닝컨설트가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19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80%는 북한 핵 프로그램 중단을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적인 외교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미-북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조건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소 엇갈렸다. 응답자의 46%는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북한의 사전 양보와 관계없이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35%의 응답자는 북한의 사전 양보가 전제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북한 정부와 지도자들에 대한 추가 제재를 지지한 응답자는 66%, 반대한 응답자는 14%로 나타났다. 대북 제재에 대한 지지 응답 비율은 지난해 7월 조사보다 9%포인트 하락했다.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에 대한 제재는 59%가 찬성을 했고, 20%가 반대했다. 찬성 응답 비율은 지난해 7월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또 지난해 7월 조사에서는 미국 국민의 49%가 북한 핵실험장과 군사적 표적에 대한 공습을 주문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34%만이 이에 찬성했다. 지상군 투입을 지지하는 여론은 1년 전 30%에서 최근 20%까지 떨어졌다.
일부 미국 전문가들은 우려의 시선을 보이기도 했다. CNN에 따르면 스콧 스나이더 미국 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은 “최대 압박이라는 용어를 쓰고 싶지 않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최대 압박 용어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건 많은 사람들에게 대북 제재 조치가 끝났다는 신호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대화 테이블로 돌아왔다는 것만으로 대가를 얻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우리에게 필요한 건 행동에 따른 대가”라고 강조했다.
미국 싱크탱크인 국가이익센터의 해리 카지아니스 국방연구 국장은 “현재로선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정책이 유동적인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트럼프의 전략은 북한에 경제적 지원과 안보를 보장함으로써 잠재적 핵합의로 회유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효과가 있을진 모르겠지만 나의 가장 큰 우려는 북한이 양보와 경제적 지원을 취하고 핵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북한 전문웹사이트 38노스 공동설립자 조엘 위트는 “비관적으로 볼 이유를 찾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위해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고 있다”며 “그는 자신의 (거친) 수사를 완화했고,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며 성공적인 회담을 위한 활주로를 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세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