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세계의 이목이 쏠린 가운데 일본 극우 성향의 한 언론이 ‘재뿌리기’식 기사를 보도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언론은 일본 산케이신문으로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된 도 넘은 우려를 제기한 것이 문제가 됐다. 산케이는 1일 “사이버 보안의 관점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실현될 경우 위험성에 대한 논의도 일고 있다”며 “항공기에 사이버 공격을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김정은 위원장의 전용기를 납치해 '암살'하는 것도 허풍이 아닌 상태가 됐다”고 썼다.
이어 “북미 정상회담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경우, 김 위원장의 전용기는 약 6시간 반을 비행해야 한다”며 “이 전용기의 보안대책이 어느 정도인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항공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전용기가 노후했다고 지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각국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북한의 방어력이 떨어진다는 일부 관측을 이용하기도 했다. 산케이는 다나카 다쓰히로 전 육상자위대 통신학교장의 말을 인용해 “기술적으로 김 위원장의 전용기를 원격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 아니며 누군가가 정상회담을 교란하기 위해 실행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미국은 북한과 최신 안전대책을 공유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문지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