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1일 4·27 판문점선언 후속 이행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군사·체육·이산가족 회담 일정을 확정하고, 개성공단에 공동연락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했다.
남북은 이날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4·27, 5·26 정상회담 후속 이행을 위한 고위급회담을 열어 장성급 군사회담과 적십자회담 일정 등을 확정하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공동보도문을 채택했다.
남북은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장성급 군사회담을 오는 14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지난 1월 9일 개최된 고위급회담에서 군사당국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한 지 5개월여 만이다. 우발적 충돌 방지 대책과 비무장지대(DMZ)의 평화지대화가 핵심 의제다.
남북체육회담은 오는 18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열린다. 남북은 이번 회담에서 남북통일농구경기와 2018 아시아경기대회 공동진출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8·15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를 추진하기 위한 적십자회담은 오는 22일 북측 금강산 지구에서 진행된다. 남북은 이번 회담에서 이산가족 행사 개최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는 동시에, 지난 2015년 10월 20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 이후 방치됐던 관련 시설도 점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이날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설과 6·15 공동선언 18주년 공동행사 문제에 관해서는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그러나 날짜와 장소를 논의하기에 시간이 촉박하다는 판단에 따라 '공동행사'는 개최하지 않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북측이 '남측지역' 개최를 제의한 데다가 남북 분야별 실무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등의 일정까지 감안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조 장관은 고위급회담 종결 후 브리핑을 열어 "(판문점 채널) 문서교환 방식으로 어떻게 의미 있게 행사를 넘길 것인가 하는 것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남북은 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공업지구 내에 개설하기로 했다. 2016년 2월 폐쇄된 이후 2년 5개월 만에 열리게 됐다. 개성공단 가동이 중단될 때까지 남북공동위원회 사무처가 사용하던 건물을 보수해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될 전망이다.
정부는 오는 15일 이전에 사전 점검단을 파견해 개성공단 내 시설을 점검하고, 공동연락사무소 개소 이전에는 임시사무소를 열어 운영하기로 합의다.
조 장관은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이 몇 개 안 되는데, 어떤 시설은 2010년, 2013년부터 사용을 안 한 시설이 있다"며 "현장에서 어느 정도의 개·보수가 필요한지(보고), 개·보수 필요 정도에 따라 문을 열 수 있는 시기도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임시 연락사무소 후보들은 있다"며 "종합지원센터, 남북교류협력사무소, 직원 숙소 등 여러 대상이 되는 장소들이 있는데 구체적인 장소는 직원이 현장에서 살펴보고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남북은 철도 연결과 산림 복원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한 분과회의를 이달 말쯤 개최하기로 했다. 또한 올 가을 북측 예술단의 남측 공연을 추진하기 위한 실무회담도 개최하기로 했다. 관련 일정은 판문점채널을 통한 문서교환 방식으로 협의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남북은 더불어 판문점선언 후속 이행을 총괄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고위급회담을 정례적인 방식으로 개최하기로 했다. 조 장관은 "예정된 회담이 진행되는 거를 봐가면서 필요하다면 중간에도 할 수 있고, 아니면 (분야별 회담) 한차례 한 다음에 정리하는 차원에서 고위급회담을 갖자는 정도로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남북은 이날 오전 10시쯤부터 오후 5시52분쯤까지 점심을 거른 채 1차례의 전체회의와 4차례의 수석대표 접촉, 그리고 1차례의 종결회의를 진행했다.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을 비롯한 북측 대표단은 오후 5시54분쯤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귀환했다.
양측은 공동보도문에 포함된 내용 외에 북한에 억류된 한국인 석방 문제도 다뤘다. 정부는 억류자 문제와 중국 북한식당 집단탈북 사건을 연계하지 않는다는 원칙으로 관련 논의를 진행했으며, 이에 대해 북측도 별다른 문제를 제기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남측 주민이 북한에 억류된 문제에 대해 논의했고, 북측에서는 억류자 문제를 관련기관에서 검토하고 있다는 설명을 해왔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또한 "북측이 (집단탈북) 종업원 문제는 오늘 이야기하지 않았다"며 "억류자 문제와 종업원 문제는 완전히 별개"라고 선을 그었다. 조 장관은 아울러 이날 고위급회담에서 북측이 한미 연합훈련 관련 언급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