꼼꼼한 지출을 위해 영수증을 받는 일이 늘어나면서 하루만 지나도 여러 장의 영수증이 가방 안에 어지럽게 널려 있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런데 영수증을 받을 때마다 환경호르몬에 노출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맨손으로 만질 경우 그 농도는 더 높아진다고 한다.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마트에서 일한 지 평균 11년 된 중년 여성 계산원 54명을 대상으로 장갑 착용 여부에 따라 소변 내 비스페놀A(BPA) 농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측정했다. 이틀 연속 맨손으로 영수증을 취급했을 때 소변에서 검출된 BPA 농도는 mL당 0.92ng(나노그램)으로 업무 전 0.45ng보다 2.04배 높아졌다. 반면 같은 기간 장갑을 끼고 영수증을 만진 경우 BPA 농도는 0.47ng으로 업무 전(0.51ng)과 별 차이가 없었다.
문제가 된 BPA는 영수증이나 대기표 등에 쓰이는 ‘감열지’에 사용하는 물질로 인체에 들어가면 내분비 시스템을 교란한다. BPA 농도가 높으면 공복 인슐린 수치도 함께 높아져 BPA와 당뇨병 간 상관성이 높다고 연구팀은 24일 밝혔다.
최경호 교수는 KBS와의 인터뷰를 통해 “아주 낮은 용량에 노출되어도 호르몬 이상, 갑상선 호르몬의 저하 이상이라든지 대사증후군, 비만이나 당뇨 또는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성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요즘은 스마트폰이 영수증을 대체하는 추세인 만큼 되도록 물건을 산 다음에 종이 영수증을 받지 말고, 불가피하게 받더라도 바로 폐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영수증 발행은 법적으로 의무화돼 있어 많은 사람들이 하루에 최소 한두 장 정도는 받게 된다. 특히 물건을 환불하거나 교환할 때 영수증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받아두기도 하고, 그냥 무의식중에 받는 사람들 역시 많다. 그만큼 일상적으로 받게 된다는 의미다. 일각에서는 영수증이 결국 쓰레기 배출만 늘린다는 지적과 함께 종이 영수증 대체 수단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가운데 군포시는 민원실 내 대기번호표 및 카드단말기 영수증을 친환경 용지로 전면 교체키로 했다고 밝혀 주목받고 있다. 군포시는 “시청 민원실을 비롯한 관내 11개 동주민센터 전체를 대상으로 비스페놀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친환경 영수증 용지를 사용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장태진 시 민원봉사과장은 “비스페놀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가중됨에 따라 민원실을 방문하는 시민들의 불안 해소 및 시민 건강을 위해 영수증 용지를 전면 교체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시민건강 및 행정편의를 위해 더욱 만전을 가하겠다”고 말했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