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지자체 선거관리위원회와 관련단체가 투표 독려 등 선거 준비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선거에 출마한 각 후보들도 본격적인 유세에 나섰다.
서울시선관위는 31일 ‘아름다운 선거 정보관’을 개관하고 유권자 투표 독려에 나섰다. 서울시선관위가 연 아름다운 선거 정보관에서는 모바일로 선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선관위 직원들은 사전투표 날짜 여론 수렴, SNS 활동, ‘보트 트럭(vote truck)’ 운영 등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무인 비행선을 띄운 곳도 있다. 대구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는 31일 오전 대구시 수성구 범어네거리에서 유권자 투표를 독려하는 무인비행선을 띄우는 등 홍보에 나섰다.
공식 선거운동 하루 전인 지난 30일에는 운동기간 중 벽에 부착될 홍보용 포스터에 대한 검수도 이뤄졌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31일부터 포스터와 공보물이 본격적으로 배포된다. 선거철마다 볼 수 있는 유세차량과 현수막 등도 31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31일 본격적으로 선거 벽보도 설치됐다. 대부분 지역의 유권자 손에 쥐어지는 투표용지는 7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도지사, 구·시·군의 장, 지역구 시·도의원, 비례대표 시·도의원, 지역구 구·시·군의원, 비례대표 구·시·군의원 선거와 교육감 선거가 한꺼번에 실시되기 때문이다. 단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를 동시에 진행하는 일부 지역 주민들은 기본 7장에 1장의 투표용지를 더 받게된다. 서울 송파을과 노원병, 부산 해운대을, 인천 남동구갑, 울산 북구, 광주 서구갑, 충북 제천·단양, 충남 천안갑과 천안병, 전남 영암·무안·신안, 경북 김천, 경남 김해을 등 12곳이다.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투표용지를 두 차례에 걸쳐 나눠 받는다. 먼저 교육감, 시·도지사, 구·시·군의 장 선거 등 3장의 투표용지를 받는다. 국회의원 재보선 투표가 있는 곳은 이때 국회의원 재보선 투표도 함께 진행된다.
이어 지역구 시·도의원 선거, 지역구 구·시·군의원 선거, 비례대표 시·도의원 선거, 비례대표 구·시·군의원 선거 등 4장의 투표용지를 추가로 받게 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용지마다 색깔을 다르게 해 최대한 혼선을 막을 예정이다.
김종형 인턴기자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