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착] 6·13 지방선거 ‘레디’…사전투표독려 등 공식 홍보 시작돼

입력 2018-05-31 15:17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31일 오전 서울 중구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교차로에 각 후보들의 현수막들이 걸려 있다. / 사진 = 뉴시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지자체 선거관리위원회와 관련단체가 투표 독려 등 선거 준비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선거에 출마한 각 후보들도 본격적인 유세에 나섰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아름다운 선거 정보관 개관식이 열린 31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원하는 사전투표 시간을 투표하고 있다. / 사진 = 뉴시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아름다운 선거 정보관 개관식이 열린 31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한 시민이 태블릿으로 선거정보를 검색하고 있다. /사진 = 뉴시스

서울시선관위는 31일 ‘아름다운 선거 정보관’을 개관하고 유권자 투표 독려에 나섰다. 서울시선관위가 연 아름다운 선거 정보관에서는 모바일로 선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선관위 직원들은 사전투표 날짜 여론 수렴, SNS 활동, ‘보트 트럭(vote truck)’ 운영 등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구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가 31일 오전 대구시 수성구 범어네거리에서 유권자들의 투표를 독려하는 무인 비행선을 띄워 홍보를 하고 있다. / 사진 = 뉴시스

무인 비행선을 띄운 곳도 있다. 대구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는 31일 오전 대구시 수성구 범어네거리에서 유권자 투표를 독려하는 무인비행선을 띄우는 등 홍보에 나섰다.

30일 오후 광주 남구 선거관리위원회 3층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6·13지방선거 선거운동기간에 벽에 부착될 홍보용 포스터를 검수하고 있다. / 사진 = 뉴시스

6·13 전국동시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을 하루 앞둔 30일 오후 대구시 남구의 한 선거유세차량 제작업체 관계자들이 각 후보의 홍보차량을 만들고 있다.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12일까지 공식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 사진 = 뉴시스

공식 선거운동 하루 전인 지난 30일에는 운동기간 중 벽에 부착될 홍보용 포스터에 대한 검수도 이뤄졌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31일부터 포스터와 공보물이 본격적으로 배포된다. 선거철마다 볼 수 있는 유세차량과 현수막 등도 31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6.13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31일, 청주 모충사거리가 각 후보들의 현수막으로 가득차 있다. / 사진 = 뉴시스

6·13지방선거 공식선거운동 첫날인 31일 오후 경남 남해군 서면 서상마을에서 한 여성이 선거벽보를 바라보고 있다. / 사진 = 뉴시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31일 본격적으로 선거 벽보도 설치됐다. 대부분 지역의 유권자 손에 쥐어지는 투표용지는 7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도지사, 구·시·군의 장, 지역구 시·도의원, 비례대표 시·도의원, 지역구 구·시·군의원, 비례대표 구·시·군의원 선거와 교육감 선거가 한꺼번에 실시되기 때문이다. 단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를 동시에 진행하는 일부 지역 주민들은 기본 7장에 1장의 투표용지를 더 받게된다. 서울 송파을과 노원병, 부산 해운대을, 인천 남동구갑, 울산 북구, 광주 서구갑, 충북 제천·단양, 충남 천안갑과 천안병, 전남 영암·무안·신안, 경북 김천, 경남 김해을 등 12곳이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아름다운 선거 정보관 개관식이 열린 31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전찬호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장 등 참석자들이 사전투표를 체험하고 있다. / 사진 = 뉴시스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투표용지를 두 차례에 걸쳐 나눠 받는다. 먼저 교육감, 시·도지사, 구·시·군의 장 선거 등 3장의 투표용지를 받는다. 국회의원 재보선 투표가 있는 곳은 이때 국회의원 재보선 투표도 함께 진행된다.

제7회 전국동시 지방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을 하루 앞둔 30일 오후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관위 선거종합 상황실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 사진 = 뉴시스

이어 지역구 시·도의원 선거, 지역구 구·시·군의원 선거, 비례대표 시·도의원 선거, 비례대표 구·시·군의원 선거 등 4장의 투표용지를 추가로 받게 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용지마다 색깔을 다르게 해 최대한 혼선을 막을 예정이다.

김종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