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국민 청원 게시판이 국민의 놀이터가 되지 못할 이유가 없다면서 국민 모두가 공감하고 분노를 표출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더욱 활발한 소통을 부탁했다. 다만 특정인에 대한 사형 청원은 올리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당부의 말을 전했다.
이날 국민 청원 책임자인 정혜승 뉴미디어비서관은 청와대 페이스북 라이브방송 ‘11:50분 청와대입니다’를 통해 “청와대 게시판에 무분별한 청원이 올라오는 등 일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곳은 장난스럽고 비현실적인 제안도 가능하다”며 “국민들이 분노를 표출하고 억울함을 호소하며 그 과정에서 공감을 나눌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비서관은 “간혹가다 이런 청원까지 올리냐는 국민들의 반응도 있는데, 온라인 공간은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이고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곳”이라며 “소위 ‘문제 청원’이라고 불리는 것들도 전부 다 나쁜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특정인에 대한 사형 청원을 올리지 않았으면 한다. 함께 지키고 키워나가야 할 공간이니 부디 다들 노력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한 정 비서관은 “때론 청와대의 답변이 아쉽다는 반응이 있는데 입법상 문제도 있고 법과 제도가 하루아침에 바뀌지 않는다”면서 “우리도 당장 제도를 개선하거나 시행할 수 없어서 답답하다. 그런 부분도 챙기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원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앞으로 청원 A/S 서비스를 통해 각 부처가 어떻게 일을 처리하고 있는지, 실제로 어떻게 법을 바꾸는지를 국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방송 말미에 정 비서관은 “국민청원은 정부가 국민과 소통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이것은 정부의 당연한 책무”라며 “청원해주신 분들의 뜻을 받아 실질적인 변화를 이루고자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