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시 산하기관, 전체 직원 5% “성희롱 직접 피해 입어”

입력 2018-05-29 15:30 수정 2018-05-29 15:32

대전시가 시청·시 산하기관 직원 7000여 명을 대상으로 성희롱 실태를 조사한 결과 5%에 달하는 직원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29일 오전 11시 대전시청 기자회견장에서 ‘직장 내 성희롱 실태 설문조사’의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3월 28일부터 4월 6일까지 실시된 이번 조사는 시와 시 산하 공공기관 소속 직원에게 1만245매의 설문지를 배부, 총 7316매의 응답을 접수받았다.

이중 직접피해를 입은 직원은 응답자 7316명의 5.11%인 374명이었다. 피해가 발생한 기관은 150곳 중 100곳에 달했다.

성별을 미표기한 14명을 제외하면 직접피해를 입은 직원의 성별은 여성 336명, 남성 24명으로 여성이 93.3%을 차지했다.

간접피해는 응답자 7316명의 8.33%인 610명이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총 120개 기관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번 조사를 통해 7급 이하 여직원이 상사로부터 성추행과 성희롱을 당했다는 내용의 성희롱 고충신고서도 1건 회수됐지만, 시는 행위자와 피해자를 모두 특정할 수 없어 조사에 착수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재관 대전시장 권한대행은 “신고서 양식에 맞춰 신고를 한 것은 맞다. 그러나 본인을 비롯한 대상의 실명이 거론되지 않았고 내용에 구체성이 없었다”며 “사법적 처리도 충분히 고려했는데 그럴 경우 가해자와 피해자와 정황이 필요하다. 다만 신고 기관이 우리만 있는 것이 아닌 만큼 현재 진행중인 사안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재관 대전시장 권한대행이 직장내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 중간발표를 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응답자들이 겪은 피해 유형은 대화나 전화통화로 음란한 농담 등을 하는 행위가 가장 많았다. 또 회식자리 등에서 무리하게 옆에 앉혀 술을 따르도록 하는 행위, 외모나 행동에 대해 성적인 비유나 평가를 행위, 포옹이나 신체적 접촉 행위 등도 순위에 올랐다.

직원들은 이처럼 직장 내 성희롱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경직된 조직 문화 때문으로 보고, 이를 개선하길 바란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실제 응답자들은 설문지의 주관식 문항에 ‘직장 내 세대 간 성 인식의 차이를 확인했다’며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제고·회식문화 개선 등 성희롱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건의했다.

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추가 분석해 내달 말쯤 최종 보고서를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이 대행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직원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며 “피해 당사자 뿐 아니라 목격자와 주변인도 쉽고 빠르게 신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