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최근 미국의 일부 언론 보도를 문제 삼으며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이 미국의 경제적 지원을 바란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미국이 운운하는 경제적 지원에 대하여 말한다면 우리는 그에 티끌만 한 기대도 걸어본 적이 없다”고 이같이 강조했다.
27일 노동신문은 ‘언론의 사명을 저버린 매문 집단의 객쩍은 나발’이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비핵화 대가로서 미국의 대북 경제지원을 언급한 미국 언론들을 비난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마치 미국으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바라고 회담에 나선 것처럼 여론을 오도하고 계속 확대시키고 있는 조건에서 그 사실 여부에 대하여 있는 그대로 까밝히지 않을 수 없다”며 “북미회담을 먼저 요구한 것은 우리가 아니라 미국”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별로 놀라울 것도 없다. 이미 몇몇의 미국 언론은 객관성과 진리성을 생명으로 하는 언론의 사명을 저버리고 권력에 붙어 기생해왔다”며 “우리는 제 체면을 깎는 미국 언론들의 행실에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지금까지 우리는 장장 수십 년 동안 미국의 제재를 받으며 살아왔다. 현 세기에 들어와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의 반공화국 제재 압박 소동은 더욱 악랄해졌다”며 “세계는 자립경제의 튼튼한 토대 위에서 끊임없이 비약하는 우리의 힘을 새로운 눈으로 다시 보고 있다. 미국의 언론들은 이런 것을 똑바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전락국가의 지위’에 당당히 올라섰다. 미국의 경제적 지원 없이도 앞으로도 얼마든지 우리의 힘과 기술, 우리의 자원으로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남부럽지 않게 잘 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자력갱생을 강조하기 위함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노동신문은 지난 14일자 사설에서도 “오늘의 세계에서 남의 힘을 빌려 번영을 이룩해보려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은 없다”며 자력갱생을 강조한 바 있다. 비핵화에 대한 보상으로 체체보장과 경제지원 중 전자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이에 북한이 미국의 경제지원 가능성에 대해 거부 반응을 보이는 것은 근본적인 체제안전 보장방안을 제시하라고 촉구하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신혜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