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북한이 미국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북한과 미국 간 적대 금지, 상호 불가침 약속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춘추관에서 “남북간 실무차원에서 미국-북한 간 정상회담 성공을 위해 북한이 가지고 있는 안보 우려를 해소해줄 수 있는 방안을 여러 가지 검토 중이다”라면서 “예를 들면 적대 금지, 상호 불가침 약속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4·27 판문점 선언에도 포함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3자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오전 춘추관에서 열린 정상회담 결과 설명 발표에서 “최근 남북간 핫라인이 개설된 것처럼 북미간에도 (핫라인 통화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면서 “핫라인 개설 이전에 3자 정상회담부터 머저 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기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3자 정상회담이 어떻게 언제 개최할거냐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가 된 게 없고 실무 차원에서만 다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 북미정상회담이 성공하게 되면 미국은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대규모로 할 용의가 있다는 점을 몇 번 말씀하신 적 있다”며 “예를 몇 가지 들기도 했지만 그것은 현단계에 발표하기에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의 27일자 기사에서 미국의 경제지원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신문은 “미국의 경제적 지원이 없이도 앞으로도 얼마든지 우리의 힘과 우리의 기술, 우리의 자원으로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남부럽지 않게 잘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한 것과 관련해 한미간 소통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이 관계자는 “한미간 소통 과정이라든지 내용을 저희가 그 때 그 때 소상하게 밝힐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내용을 다 알아도 국민들이 그렇게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통에 약간 시차가 있었던 건 사실이지만 한미 간에 아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은 여태까지 타국과 상호 불가침 약속을 하지 않은 나라로 알려져 있다.
김종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