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사전 소통 부재? “남북 2차회담 전 백악관에 알렸다”

입력 2018-05-27 10:47
뉴시스 AP

한국측이 2차정상회담 전 백악관에 개최 사실을 사전에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회담과 관련해 미국과 사전 소통이 부재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었다.

조선일보는 26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가 “(2차 정상회담과 관련해)
한국측이 미리 통보했다”는 답변을 했다고 보도했다. ‘2차 남북정상회담을 미리 통보 받았느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2차 정상회담에 대한 백악관의 입장을 묻는 말에는 답하지 않았다고 매체는 전했다.

26일 남북 2차 정상회담이 전격적으로 이뤄졌다는 소식이 알려졌을 때 남북이 미국을 배제한 돌발행동을 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자유한국당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정부가 사전에 미국과 소통을 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드러냈다. 자유한국당 정태옥 대변인은 "한반도의 정세에 비춰볼때 남북정상이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기회를 가질 필요성은 인정한다"면서도 "그러나 정상회담의 절차나 투명성, 동맹국간의 관계에서 문제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고 밝혔다. 정 대변인은 "문 정부는 한미동맹문제를 제기할 때마다 문제 없다고 큰 소리 쳐왔다. 그러나 5.22 한미정상회담하고 돌아오는 뒤통수에서 북미정상회담 취소통보를 받은 바 있다"며 "이번에도 대충 좋은 말로 한미간에 조율했다는 식으로 할 것이 아니라 한미간에 구체적으로 어느정도 소통 후에 판문점 회담을 가졌는지를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남북정상회담 이전 미국과 사전 합의가 있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면서 "(27일 오전 10시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의 발표가)좋은 발표가 예상된다. 결국 6.12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은 이뤄진다”고 단언했다. 그는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은 북핵을 보유케 하고 전쟁으로 가는 길로 어깃장 놓으면 진정한 보수도 아니다”고 비판했다.

뉴시스 AP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백악관 정상회담 사전준비팀 실무진이 이번 주말 싱가포르로 출발한다”고 밝혔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