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투자가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로부터 ‘거래 중지’ 제재를 받게 되면서 해외 선물 상품 등에 투자했던 하나금융투자 고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CME의 제재 원인이 애초 하나금융투자가 밝혔던 ‘정보 미공개’가 아닌, ‘허위 정보 제공’이라는 것이 드러나면서 하나금융투자의 리스크 관리가 부실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CME는 지난 22일 하나금융투자를 통한 거래를 60일간 중지한다고 통보했다. 하나금융투자도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 이런 내용을 담은 안내문을 띄웠다.
당시 하나금융투자는 CME가 이런 조치를 내린 원인에 대해 ‘국내 개인정보보호법 때문에 고객 정보를 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었다. CME가 거래를 모니터링하다가 시장법 위반 혐의가 보이는 투자자들의 정보를 하나금융투자에 요청해왔지만, 일부 투자자가 정보 제공을 거부해 자료를 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CME는 지난 24일 “이번 거래중지는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과 무관하다”며 “하나금융투자는 지난해 5월부터 최근까지 CME가 요청한 계좌의 거래 내역과 관련해 불완전하고 부정확한 허위 정보를 제공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하나금융투자의 이런 행위는 스푸핑(허수주문), 시장질서 교란 행위, 자금이전 활동에 관한 조사를 중대하게 방해했다”고 덧붙였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도 “지난 1년 간 CME와 하나금융투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안됐다”며 “CME는 A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는데 하나금융투자는 B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등 착오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투자도 뒤늦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고 인정했다. 하나금융투자 관계자는 “전산 오류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게 사실”이라면서 “협의를 통해 사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하나금융투자가 거래 정지일, 제재 이유에 대해 ‘국내법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만 밝히는 등 회사에 불리한 내용은 언론에 숨겼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해외 거래소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해 고객들에게 피해를 끼쳤다는 점에서 ‘리스크 관리’가 부실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CME의 하나금융투자 거래중지 조치는 별도의 통보가 없으면 오는 7월 20일까지 이어진다. 하나금융투자를 통해 CME 선물·옵션거래를 하는 고객들의 불편이 당분간 더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하나금융투자는 이번 사태로 피해를 본 투자자들에게 보상하겠다는 방침이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