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예정돼 있던 6·12 북미정상회담을 취소했다. 하지만 백악관은 아직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희망이 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다시 정상회담 일정을 재조정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 앞으로 쓴 공개서한을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양쪽 모두가 오랫동안 바라온 6·12 회담과 관련해 시간과 인내, 노력을 보여준 데 대해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면서도 “당신을 거기서 만나길 매우 고대했지만 최근 당신들의 발언들에 나타난 굉장한 분노와 공공연한 적대감으로 인해 애석하게도 지금 시점에서 회담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느낀다”고 밝혔다. 이어 “따라서 싱가포르 회담은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당신은 당신의 핵 능력에 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그러나 우리의 것이 매우 거대하고 막강하기 때문에 나는 (우리의 핵 능력이) 절대 사용되지 않기를 신에게 기도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세계, 그리고 특별히 북한은 영속적인 평화와 큰 번영, 부유함을 위한 위대한 기회를 잃었다”며 “이 잃어버린 기회는 진실로 역사상 슬픈 순간”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가장 중요한 회담과 관련해 마음을 바꾸게 된다면 주저 말고 전화하거나 편지해 달라”고 말했다. 이어 “언젠가는 당신을 만나길 고대한다”며 “억류됐던 인질들을 석방해 집으로 보내준 데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 그것은 아름다운 제스처였으며, 매우 평가를 받았다”고 표현했다.
분주한 청와대…한밤 NSC 긴급 소집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오후 11시 30분 북미정상회담 취소와 관련해 임종석 비서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들과 외교·안보 관련 장관 등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을 청와대 관저로 긴급 소집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문 대통령은 오늘 밤 11시 30분 임종석 비서실장,정의용 안보실장, 강경화 외교부장관, 조명균 통일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장관, 서훈 국가정보원장,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을 청와대 관저로 긴급 소집했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 취소와 관련해 진의를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트럼프 대통령의 뜻이 무엇인지, 그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려고 시도 중”이라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케 한 북한의 담화문…백악관 “북한 태도 바꿔야”
트럼프 대통령은 취소 이유로 “북한의 최근 성명에서 드러난 굉장한 분노와 공공연한 적개심”을 들면서 “오랜 동안 준비된 회담이 이 시점에서 열리는 것이 부절절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마음을 결정적으로 돌린 북한의 성명은 24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의 담화문으로 보인다.
최 부상은 이날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서 ‘리비아식’ 비핵화에 대한 언급이 계속되는 데 대해 “그들의 말을 되받아넘긴다면 우리도 미국이 지금까지 체험하지 못했고 상상도 하지 못한 끔찍한 비극을 맛보게 할 수 있다”고 엄포를 놓았다.
최 부상은 또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볼튼에 이어 이번에 또 부대통령 펜스가 우리가 리비아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며 “(북한은) 리비아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값비싼 대가를 치르면서 우리 자신을 지키고, 조선반도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수호할 수 있는 강력하고 믿음직한 힘을 키웠다”고 강조했다.
최 부상은 이어 “펜스는 상대가 누구인가를 똑바로 알지 못하고 무분별한 협박성 발언을 하기에 앞서, 그 말이 불러올 무서운 후과에 대해 숙고했어야 했다”며 “저들이 먼저 대화를 청탁하고도 우리가 청한듯이 여론을 오도하는 저의가 무엇인지, 미국이 여기서 얻을 수 있다고 타산한 것이 무엇인지 궁금할 뿐”이라고 밝혔다.
최 부상은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에 대화를 구걸하지 않으며, 미국이 우리와 마주 앉지 않겠다면 구태여 붙잡지도 않을 것”이라며 “미국이 우리를 회담장에서 만나겠는지, 아니면 핵 대 핵의 대결장에서 만나겠는지는 전적으로 미국의 결심과 처신 여하에 달려있다”고 응수했다.
최 부상은 아울러 “우리의 선의를 모독하고 계속 불법 무도하게 나오는 경우 나는 조미수뇌회담을 재고려할 데 대한 문제를 최고지도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악관 관계자는 “북한이 마이크 펜스 부통령에게 험악한 말을 한 것은 ‘최후의 결정타’였고 이것이 회담 철회로 이어졌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이 관계자는 “대화를 위한 백채널은 여전히 열려 있다”면서 “그러나 북한은 먼저 그 수사를 바꿔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