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북미 정상회담 연기 가능성” 발언은 어떻게 나왔나

입력 2018-05-23 03:0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연기 가능” 발언은 한·미 정상회담 도중 예정에 없던 질의응답 과정에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모두 발언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열려도 좋고 안 열려도 좋다”고 말하자 풀(POOL) 취재에 들어갔던 기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집중적으로 질문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통상 정상회담은 모두발언만 공개하고 기자단이 퇴장하는 게 관례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작정한 듯 연기 가능성을 거론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개최됐다.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의 모두 발언이 끝난 직후 외신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모두발언에서 “싱가포르 회담이 열릴지 안 열릴지는 두고 봐야 될 것”이라며 “그것이 열린다면 아주 좋은 일이 될 것이고, 북한에게도 좋은 일이 될 것이다. 만일 열리지 않는다면 그것도 괜찮다”고 말한 데 따른 것이다.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지자 트럼프 대통령은 “6월 중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되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하다”, “북·미 정상회담 준비를 하고 있지만 연기될 가능성도 있다”, “지금 열리지 않더라도 나중에 열릴 수도 있다”는 등의 발언을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부정적인 발언만 한 것은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위대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한국과 중국, 일본도 자금을 투자하고 싶어한다”, “(비핵화 합의 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안전을 보장하겠다”, “비핵화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김 위원장은 비핵화에 대해 진지한 태도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하지만 북·미 간 갈등 속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정상회담 연기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파장이 확대됐다.

문 대통령에게도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질문이 두 차례 있었다.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것이 과연 실현될 것인가, 여기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이 미국 내에 있는 것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과거에 실패해 왔었다고 이번에도 실패할 것이라고 미리 비관한다면 역사의 발전 같은 것은 있을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북미 간에 여러 번 합의가 있었지만 정상들 간에 합의가 도모되는 것은 이번이 사상 최초”라며 “더구나 정상회담을 이끄는 분이 트럼프 대통령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의 극적인 대화, 긍정적인 상황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적극 나서줄 것을 간곡히 설득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의 역사적 의미를 설명하며 “저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도 반드시 성공시켜서 65년 동안 끝내지 못했던 한국전쟁을 종식시키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이룸과 동시에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북미 간에도 수교를 하고, 정상적인 관계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