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종·염동열 자유한국당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부결되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에게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표결 결과 민주당 내에서 최소 20표에서 최대 45표의 이탈표가 나온 것으로 분석되면서 민주당 지지자들이 책임을 묻기 시작한 것이다.
22일 표창원 민주당 의원 페이스북에는 민주당 내 이탈표 명단을 공개하라는 댓글들이 달렸다. 표 의원은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표결을 하기 전 의원들의 찬반 의사를 정리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개했었다. 언론보도를 통해 공개된 의원들의 찬반 의사를 정리한 것이었지만 무기명 표결 안건에 대한 입장을 무책임하게 공개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한 네티즌은 “촛불 핑계로 집권한 여당, 대한민국 역사에 치욕적인 날”이라며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보다 더 창피하다”고 남겼다. 또 다른 네티즌은 “박근혜 탄핵 표결 때처럼 이번에도 민주당에서 반대한 사람들 공개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이제 민주당 의원들은 촛불을 입에 올리지도 말라”며 “민주당 의원들은 촛불 든 국민보다 적폐 한가운데 있던 동료 국회의원이 먼저였다”는 비판도 나왔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홍 원내대표의 페이스북에는 “민주당이나 한국당이나 그 나물에 그 밥” “국민들이 추위에 떨며 멍석을 깔아줬더니 이젠 기고만장 하다” “오늘부터 지지 철회한다” 등의 비난 여론이 쇄도하고 있다. 홍 원내대표는 전날 “무기명 투표이기 때문에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민주당 이탈표가 20표 이상 있었다고 본다”며 “의원총회 전 권고적 당론으로 (체포동의안 찬성을) 결정했으나 이런 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 원내대표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국회의원의 국회 내 투표를 할 때 무기명 투표를 폐지하게 하자”는 청원이 잇따르고 있다. 한 청원인은 “국민의 의사에 반하는 투표를 하지 못하게 투표자의 이름이 낱낱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며 “그것이 진정한 대의 민주주의인데, 도둑질 하고 배임 횡령에 사기질 직권 남용 등으로 법률을 위반한 자를 법 집행을 막아서는 저런 행태는 절대 용납할 수가 없다”고 주장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