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격한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노화 현상, 불의의 사고 등으로 인한 치아 탈락 때문에 불편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틀니를 대체한 임플란트 시술이 대중화되고 있다. 기존에 이용되어온 틀니는 잇몸을 짓누르게 되어 잇몸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착과 해제가 편한 만큼 자칫 부주의하면 입에서 빠져나와 곤란을 겪게 되는 경우가 있어왔다.
임플란트는 치아를 상실한 부위의 잇몸뼈에 알맞게 자리를 내어 인공 보철물을 심는 시술로, 다른 기존의 보철물과는 다르게 저작 능력이 월등하게 회복되어 환자들이 많이 찾고 있는 시술이다.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재료는 보통 티타늄이라는 생체 친화성 금속인데, 인체에 유해한 작용이 없기에 의학적인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금속 재료이기도 하다.
흔히 당뇨와 고혈압 등의 소모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임플란트 식립을 받을 수 없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성인병 발병 비율이 매년 높아져 중장년층이라면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을 망설일 수 있다. 하지만 보철과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치고 시술 전에 3D-CT 등의 첨단 분석 장비를 통해 여러 사항을 담당 의사와 공유한다면 어려운 일은 아니다.
또한 평소 건강한 환자라도 개개인의 잇몸뼈의 형태와 건강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여부가 결정되니 경력이 많은 담당 의료진과 1:1 맞춤 상담을 통하여 시술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울산 화이트e 치과 보철과 전문의 강정모 원장은 “임플란트 시술은 이미 대중화가 많이 되어 울산뿐만 아니라 전국의 치과 병원에서 활발히 시술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미 많은 치과에서 다루고 있기에 환자들은 병원 선택에 있어 다소 어려울 수 있는데 ‘Cone Beam CT’와 ‘ISQ’ 같은 첨단 장비의 유무, 보철과 전문의의 상주 여부 등을 확인하여 사후 치아 관리에 신경을 써주면 임플란트의 수명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