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5·18 기념식 불참한 이유

입력 2018-05-18 12:36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 18일 광주에서 열리는 제38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불참하고 이낙연 국무총리를 대신 보냈다. 문 대통령이 지난 3월 발의한 헌법 개정안 전문(前文)에 ‘헌법적 의미를 갖는 역사적 사건’으로 5·18민주화운동을 추가하며 각별한 관심을 드러낸 만큼, 그가 올해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불참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먼저 다음달 13일 지방동시선거로 민감한 시국에 정치적 오해를 부를 지역방문은 최소화하자는 청와대 분위기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이 주요 기념일에 특정 지역을 방문하면 여당 출마자를 돕는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22일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반도 현안 점검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함이라는 분석도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7일 마곡 연구개발단지에서 ‘혁신성장 점검회의’를 주재한 것 외에는 이번주 내내 청와대에 머물며 정상회담을 준비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지난해 취임한 직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었다”면서 “대통령이 각종 국가 기념행사를 매년 현장에서 챙기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대신 이낙연 총리를 전면에 내세워 일정을 분산하면서 책임 총리제 구현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16일 ‘4·16 세월호 참사 희생자 정부합동 영결·추도식’, 지난달 19일 ‘제58주년 4·19혁명 기념식’에도 문 대통령이 아닌 이 총리가 참석해 추도사를 했다. 다음달 예정된 일부 호국보훈 행사에도 이 총리가 문 대통령 대신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8주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이낙연 총리는 “광주 시민들은 정의로운 항거에 언제나 앞장섰고 희생됐다”면서 “정부는 진상규명위원회를 가동해 어떤 제약도 의혹도 없이 진실을 밝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국방부가 진실 왜곡을 주도한 정황도 포착됐다”면서 “과거 정부의 범죄적 행태에 깊이 유감을 표한다”라고 덧붙였다.

이현지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