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 출퇴근에 걸리는 시간이 평균 1시간36분가량 소요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16일 한국교통연구원과 국가교통조사 자료를 이용해 전국 통행량 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2016년을 기준으로 지역별 통행량과 출퇴근 통행시간 등을 파악한 결과 서울시의 평균 출퇴근 시간은 96.4분으로 전국 지자체 평균 출퇴근 시간 중 가장 길었다. 출근에는 41.8분, 퇴근에는 54.6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인접한 인천(92.0분)과 경기도(91.7분)도 출퇴근 시간이 90분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시간이 가장 짧은 곳은 전라남도로, 출근에 28.6분, 퇴근에는 38.0분 등 총 66.6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통행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고양시로, 일평균 출근 통행량은 9만7054건(12.40%)이었다. 뒤이어 성남시(9만6515건, 12.32%), 부천시(7만8638건, 10.04%), 남양주시(6만3523건, 8.11%) 등이었다.
2016년 전국의 통행량은 8705만1000건으로 2010년 7886만8000건 대비 10.38% 증가했고, 총 통행 거리는 12억3900만㎞로 2010년 12억2200만㎞ 대비 1.38% 늘었다.
7대 특별·광역시 중에서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은 지속적으로 혼잡구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잡구간은 24시간 중 1시간이라도 혼잡기준 속도 이하로 떨어진 도로구간이다. 이때 혼잡기준 속도는 고속도로는 40㎞/h, 도시고속도로는 30㎞/h, 특별·광역 시도는 15㎞/h 이하다.
김종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