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부터 가장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현지시간) 뉴욕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17개 신흥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최근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신흥국가는 우리나라와 브라질, 칠레, 중국, 체코,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말레이시아, 멕시코, 폴란드, 러시아, 필리핀, 태국, 터키 등이 대상이다. 골드만삭스가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2007년 이후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신흥국의 국내총생산(GDP)은 감소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골드만삭스 분석결과 미국 기준금리가 1% 인상되면 한국 GDP는 향후 2년간 최대 0.6% 가까이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 17개 국가 중 가장 큰 하락폭이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14일(현지시간)에도 보고서를 발표하고 “재정적자와 실업률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면서 “미국 경제가 준 완전고용 상태인데 재정적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김종형 인턴기자